2025.11.24 (월)

  • 구름조금동두천 14.7℃
  • 맑음강릉 15.9℃
  • 연무서울 13.2℃
  • 구름조금대전 14.7℃
  • 맑음대구 13.8℃
  • 구름조금울산 15.9℃
  • 맑음광주 15.5℃
  • 구름많음부산 15.9℃
  • 맑음고창 16.7℃
  • 구름많음제주 18.8℃
  • 구름조금강화 13.8℃
  • 맑음보은 12.1℃
  • 맑음금산 15.4℃
  • 맑음강진군 15.2℃
  • 구름조금경주시 15.4℃
  • 구름많음거제 15.4℃
기상청 제공
메뉴

SK바이오팜, 美 뇌전증학회서 세노바메이트 임상 성과 10건 발표

전신 발작 임상 결과 등 세노바메이트 관련 최신 연구 결과 10건 발표
세노바메이트, 광범위 항발작제 가능성 입증하며 뇌전증 치료 새로운 전환점 제시
세계적 뇌전증 전문가 초빙 심포지엄 개최...맞춤형 치료 전략 논의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SK바이오팜(대표이사 이동훈)의 미국 자회사 SK라이프사이언스가 오는 12월 5일부터 9일까지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열리는 ‘2025 미국뇌전증학회(AES)’ 연례 학술대회에서 세노바메이트를 주제로 한 총 10건의 연구 포스터를 발표하고, 글로벌 뇌전증 전문가들과 치료 패러다임을 논의하는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AES 학회에서는 세노바메이트의 임상 효능과 안전성, 약동학(PK), 실사용 데이터(RWD) 등 다양한 연구 결과가 공개된다. 특히 청소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한 전신 강직-간대발작 임상 3상 연구가 ‘최신 임상 연구 초록(LBA)’에 선정돼 발표될 예정이어서 주목된다. 이는 SK바이오팜이 지난 9월 발표한 전신 발작 임상 탑라인 결과를 기반으로 하며, 세노바메이트가 광범위 항발작제로서 잠재력을 지닌다는 점을 학술적으로 뒷받침하는 핵심 데이터로 평가된다.

 

이번 학회에서는 현재 정제(tablet) 형태로 처방되는 세노바메이트의 새로운 제형인 ‘경구용 현탁액 임상 결과도 최초로 공개된다. 연구에서는 정제 대비 경구 현탁액의 상대적 생체이용률이 동등하게 나타났으며, 식사 여부와 무관하게 투여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SK라이프사이언스는 해당 결과를 바탕으로 경구 현탁액 제형에 대한 신약승인신청서(NDA)를 연내 제출할 계획이다.

 

만 12세 이상 18세 미만 청소년 부분 발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에서도 성인 승인 용량(100~400mg, 1일 1회)과 유사한 약물 노출이 확인됐다. 이에 따라 세노바메이트의 적응증을 현재의 성인 중심에서 12세 이상 청소년으로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다는 평가다.

 

학회 기간 중 SK라이프사이언스는 ‘발작 감소를 위한 새로운 길을 비추다’라는 주제로 심포지엄도 연다. 이 세션에서는 약물 난치성 뇌전증 치료의 변화 흐름, 3세대 항발작제의 임상적 의미, 환자 치료 여정에서 치료 선택이 미치는 영향 등을 논의한다. 또한 최근 의료진의 치료 목표가 ‘발작 완전 소실’로 확장되는 흐름과 그에 따른 치료 전략 변화도 다뤄질 예정이다.

 

심포지엄에는 파벨 클라인(미드애틀랜틱 뇌전증·수면센터장), 다니엘 베커(오하이오주립대 웩스너 메디컬센터 신경과 부교수), 라마나 상카르(UCLA 데이비드 게펜 의대 신경과 교수), 존 M. 스턴(UCLA 뇌전증센터 임상 프로그램 책임자) 등 세계적 전문가들이 연사로 참여한다. 이들은 실제 세노바메이트 임상 적용 사례와 발작 조절 향상 전략을 중심으로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할 예정이다.

 

수니타 미스라 SK라이프사이언스 글로벌 임상개발 및 메디컬 담당 부사장은 “AES 2025는 세노바메이트의 전신 발작 치료 가능성을 임상적으로 입증하고 글로벌 전문가들과 치료 혁신 방향을 논의하는 의미 있는 자리”라며 “새로운 임상 데이터를 통해 전 세계 의료진과 환자에게 더욱 확장된 치료 옵션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늘의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