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명보험 고객 2명중 1명은 ‘사망보험금 유동화’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화생명(대표이사 권혁웅·이경근)이 ‘사망보험금 유동화 서비스’ 시행에 맞춰 종신보험에 대한 소비자 인식 변화를 분석한 이같은 내용의 조사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한화생명과 KMAC이 공동으로 지난 9월 25일부터 29일까지 전국 30세 이상 성인 남녀 1,019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종신보험에 대해 여전히 ‘가족을 위한 책임보험’이라는 전통적 인식을 갖고 있지만, 실제 가입·유지 과정에서는 불만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49.4%가 종신보험의 가장 큰 문제로 “생전에 받는 혜택이 없다”는 점을 꼽았다. 이어 “보험금 가치 하락”(23.3%), “유연하게 활용하기 어렵다”(21.1%) 등이 주요 불만 요소로 지목됐다. 종신보험이 ‘비싼 보험료를 내는 장기 불유동성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새롭게 도입되는 ‘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는 이러한 약점을 보완하는 기능으로 긍정 평가를 받았다. 제도 설명 후 소비자 매력도는 평균 64.7점, 긍정 응답률은 53.4%로 절반을 넘었다. 종신보험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완화하는 데에도 평균 63.74점의 긍정적 평가가 나타났다. 특히 제도가 가장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으로 ‘은퇴 후 생활비 보완’(37.0%)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뒤이어 ‘중대질병 의료비’(24.4%), ‘간병비’(23.3%) 등이 꼽혔다.
연령·가구 구성별로는 ‘40~50대 기혼 유자녀층’이 종신보험의 기존 가치와 유동화 제도의 신규 가치를 모두 높게 평가했다. 해당 집단은 자녀 부양과 본인 노후 준비가 동시에 필요한 세대로, ‘은퇴 후 생활비 보완’ 니즈가 40대 41.0%, 50대 44.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신보험을 능동적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 역시 높은 공감대를 형성했다.
또 응답자들은 제도 정착을 위해서는 상품 구조의 투명성 확보와 더불어 요양·간병 연계 서비스 등 실질적 지원 프로그램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68.6%가 “부가 서비스 결합이 신뢰도를 높일 것”이라고 답했다. 한화생명 관계자는 “사망보험금 유동화는 종신보험을 ‘사후 보장’의 틀에서 ‘생전 활용 자산’으로 확장하는 제도적 혁신”이라며 “고객이 생애 전반에서 보험을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고도화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