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0 (목)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메뉴

서울 아파트 착공 11.1%↓·분양 7.7%↓..."탈서울 수요 경기권으로"

[서울타임즈뉴스 = 서연옥 기자] 서울 주택 시장의 공급 감소가 현실화되면서, 서울과 가까운 경기권 지역으로 수요가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특히 김포 등 서울 생활권 인접지는 교통 인프라 개선과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 메리트를 바탕으로 실수요자는 물론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분위기다.

 

서울의 주택 착공 및 분양 실적은 올들어 감소세가 뚜렷하다. 국토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올해 1~5월 기준 서울에서 착공된 주택은 1만 787가구다. 이는 전년 동기대비 11.1% 줄어든 규모다. 분양 승인 역시 5,612가구에 그쳐 전년대비 7.7% 줄었다.

 

서울의 공급 위축과 더불어 지속적인 인구 감소도 인근 지역의 수요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서울의 인구는 지난 2010년 말 1,031만 명에서 2020년 991만 명으로 줄어든 데 이어, 2025년 1월 기준으로는 949만 6,887명을 기록하며 950만 명 선도 무너진 상태다.

 

수도권 내에서도 서울은 2000년 대비 인구가 약 9.5% 줄어든 반면, 경기도는 48.5%, 인천은 18.7% 증가하는 등 인구가 외곽으로 이동하는 추세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자녀 교육과 주거 환경 개선을 고려하는 30~40대 실수요층을 중심으로 집값이 비싼 서울을 떠나 경기·인천 등으로 이주하는 사례가 많아지며, 이들 지역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지는 분위기다.

 

27일 발표된 부동산 대책의 여파도 예상된다. 정부는 이날 수도권 및 규제지역의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최대 6억 원으로 제한하고, 주택 구입시 6개월 이내 실입주를 의무화하는 등 강도 높은 조치를 내놨다. 이러한 변화는 집값과 거래량 위축은 물론, 중장기적으로 공급 감소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문가들 역시 공급 위축과 대출 규제의 파급 효과가 2~3년 후에는 ‘입주 절벽’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이에 따라 서울 도심 내 주택 마련이 어려워진 실수요자들은 자연스럽게 서울 인접 지역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교통망, 교육 환경, 생활 인프라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주거지를 선택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최근 분양시장에서도 이러한 흐름이 반영되며, 서울 대체 주거지로서 수도권 외곽이나 접근성 좋은 지역들에 대한 관심이 점차 확대되는 분위기다.

 

부동산업계 한 관계자는 “서울 도심 공급이 줄어들수록 인접 지역으로의 수요 쏠림 현상은 더욱 뚜렷해질 것”이라며 “특히 김포처럼 교통 접근성이 빠르게 개선되고, 상대적으로 가격 메리트가 있는 지역은 실거주와 투자 모두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늘의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