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GC지놈(대표 기창석)은 서울아산병원 변정식 교수팀과 공동 진행한 연구에서 자사의 혈액 기반 암 진단 기술이 대장암 비침습 스크리닝에서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이같은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미국소화기내과저널에 게재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대장암 환자 302명, 진행성 선종 환자 108명을 포함해 총 1,677명을 대상으로 수행됐다. 연구진은 GC지놈의 다중암 혈액 스크리닝 검사 ‘아이캔서치’에 적용되는 AI 기반 프래그먼토믹스 기술을 사용해 혈액 내 세포유리 DNA(cfDNA)를 분석했다. 이는 기존 대장내시경의 불편함과 분변잠혈검사의 낮은 순응도를 보완하고, 조기 발견율을 높이기 위한 시도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 결과, 대장암의 민감도는 90.4%, 특이도는 94.7%로 매우 높은 정확도를 기록했다. 특히 ▲1기 대장암(84.2%) ▲내시경 절제로 치료 가능한 초기암(T1N0, 90.0%) 등 초기에 탐지해야 하는 구간에서 의미 있는 수치를 보였다. 또 대장암 전 단계 병변인 진행성 선종을 58.3%의 민감도로 검출해 예방적 진단 측면에서도 중요한 성과로 평가된다.
암 발생 위치(좌·우측)나 연령과 관계없이 일관된 정확도를 유지한 점 역시 혈액 기반 검사로서의 현실적 활용 가능성을 높였다는 분석이 나온다. GC지놈 관계자는 “대장암뿐 아니라 전암 병변까지 탐지 범위를 확장한 것은 조기 예방과 관리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액체생검과 AI 분석 기술이 국제적으로 타당성을 인정받은 만큼, 건강검진 등 대장암 스크리닝 시장에서의 활용을 강화하고 글로벌 진출도 속도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GC지놈은 2023년 9월 AI 알고리즘과 전장유전체(WGS) 기반의 다중암 조기진단 검사 ‘아이캔서치(ai-CANCERCH)’를 출시했다. 10mL의 혈액만으로 여러 암 신호를 탐지하는 MCED 검사로, 현재 6종의 암을 진단할 수 있다. 또 GC지놈은 내년에는 10종(대장·폐·식도·간·난소·췌장·담도·유방·위·두경부 등)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