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고려아연(회장 최윤범)이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국가희소금속센터(KORAM), 에이치케이머티리얼즈와 ‘게르마늄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며 국내 전략광물 공급망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민관이 긴밀히 협력하는 파트너십이 구축되면서 희소금속 산업 생태계 조성에도 힘이 실릴 전망이다.
고려아연은 20일 서울 용산 피스앤파크 컨벤션에서 열린 ‘제2차 희소금속 산업발전협의회’에서 해당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 학계, 연구기관, 주요 수요기업 등 50여명이 참석한 이날 협의회에서는 희소금속 분야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과 산학연 협력 전략이 논의됐다.
이날 협약에 따라 고려아연은 오는 2028년부터 양산할 예정인 게르마늄을 국내 산업계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공급 협력 모델을 구체화한다. 국가희소금속센터와 함께 게르마늄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연구개발(R&D) 과제도 추진한다. 또한 공급망 안정화 성공 모델을 발굴해 확산하고 관련 제도 개선도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게르마늄은 고성능 반도체 소자, 반도체 공정용 특수가스, LED, 광섬유 등 첨단 제조업 핵심 소재로 쓰이며, 군사용 야간투시장치·열화상 카메라 등 방위산업 분야에서도 필수 금속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글로벌 정제 게르마늄 공급의 68%가 중국에서 생산될 만큼 공급망 편중이 심각하다. 코트라(KOTRA)에 따르면 전 세계 정제 게르마늄 생산량은 2021년 기준 약 140톤이며, 그중 중국이 95톤을 차지한다.
고려아연은 올해 8월 세계 1위 방산기업 록히드마틴과 게르마늄 공급·구매 MOU를 체결하며 글로벌 공급망 협력을 확대했다. 온산제련소에 약 1,400억원을 투자해 연산 12톤 규모 게르마늄 생산 공장을 건립중이다. 중국 의존도가 높은 또 다른 전략광물인 갈륨도 2028년부터 생산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557억원을 들여 연 15톤 규모 갈륨 회수 공정도 추진하고 있다.
고려아연 관계자는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이번 MOU는 국내 희소금속 자립 기반을 강화하는 중요한 출발점”이라며 “대한민국 경제안보와 직결되는 핵심 자원 분야에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국가희소금속센터는 2023년 12월 정식 출범했다. 공급망 안정화 연구·산업 지원·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을 통해 희소금속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고려아연이 참여하는 희소금속 산업발전협의회 역시 올해 3월 발족해 산학연 전문가들이 희소금속 공급, 재자원화, 수요기업 전략 등을 논의하는 민관 협의체로 운영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