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30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메뉴

국정자원 화재 닷새째 87개 정상화…복구율 13.4%

10시 현재 647개 시스템 가운데 87개 정상적으로 가동
국정자원 화재 중단 시스템 '대체수단' 공개…복구 더뎌
행안부, 서비스 중단 647개 시스템 목록 모두 공개
주민등록증 진위확인·우편물류 등 87개 시스템 복구

[서울타임즈뉴스 = 허성미 기자]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전산실 화재가 발생한 지 닷새째인 30일, 정부 행정정보시스템 복구율은 여전히 10%대에 머물고 있다. 정부는 전체 장애 시스템 현황을 공개하고 대체 이용 방안을 안내하며 불편 최소화에 나섰지만 국민 생활과 직결된 서비스 상당수가 여전히 멈춰 있어 불편이 당분간 불가피한 상황이다.

 

행정안전부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기준 가동이 중단된 647개 시스템중 87개(13.4%)가 정상화됐다. 등급별로는 1등급 핵심 시스템이 36개중 21개(58.3%), 2등급은 91개중 14개(15.4%)가 복구됐다. 주민등록, 인감, 여권 발급 등 민원 서비스와 ‘정부24’, 무인민원발급기, ‘인터넷우체국’, ‘우편물류’ 시스템, 복지로 사회보장정보 포털 등이 재개되며 일부 발생했던 불편은 해소됐다.

 

특히 금융기관에서 필수적으로 활용하는 ‘주민등록증 진위확인 서비스’도 대체장비를 긴급 투입해 복구됐다. 이 서비스는 계좌 개설이나 휴대전화 개통시 필수 절차다. 이 서비스가 멈추는 동안 비대면 금융거래가 제한되며 큰 혼란이 우려됐던 만큼 조기 정상화에 의미가 크다.

 

정부는 이번 화재로 멈춘 647개 시스템의 구체적 목록을 모두 공개하고, 각 시스템별 복구 현황과 이용 가능한 대체수단을 함께 안내하기 시작했다. 예컨대 2등급 ‘안전신문고’는 지자체 민원실 방문을 통해, 3등급 ‘털린 내 정보찾기’ 서비스는 전화나 팩스를 통해 이용하도록 대체 경로를 제시했다. 행안부는 민간 플랫폼을 통해서도 통합 안내를 제공하며 국민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복구 속도는 여전히 더딘 실정이다. 특히 화재로 완전 소실된 96개 시스템은 정보자원 준비와 시스템 재구축에만 4주가량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화재 당시 급박하게 전원이 차단되면서 시스템이 비정상 종료됐고, 재가동 과정에서 부품 수급과 절차상의 지연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중대본은 "화재 피해가 덜한 2~4층 전산실 시스템은 재가동 중이다"며 "5층의 경우 7-1 전산실을 제외한 일부 시스템은 분진 제거 작업을 거쳐 단계적으로 복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5층에는 전체 시스템의 절반이 넘는 330개가 집중돼 있어 완전 정상화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김민재 중대본 제1차장(행안부 차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국민이 자주 이용하는 정부24와 무인민원발급기 등이 정상화되면서 큰 혼란은 없지만, 부동산거래·사회보장정보시스템 일부 기능은 여전히 중단돼 주민센터 방문 등 불편이 따른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지자체 전담지원반을 구성해 현장 대응을 강화하고, 시스템 복구와 대체수단 안내를 통해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오늘의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