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의 연임 전선에 적신호가 켜졌다. 이재명 대통령이 포스코의 잇따른 근로자 사망사고를 언급하며 '안전 불감증' 문제를 강하게 질책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이 대통령의 질책 뒤 포스코그룹은 포스코이앤씨에서 발생한 사망 사고를 계기로 그룹 차원의 안전관리 혁신에 나선다고 밝혔다.
포스코그룹도 또 장인화 회장이 직접 진두지휘하며 안전관리 체계를 근본적으로 재정비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안전에 대한 투자 확대와 산재가족돌봄재단 설립 등도 추진하겠다고 했다. 포스코 수장인 장인화 회장의 '안전경영'이 새정부를 맞아 시험대에 오르는 모양새다.
31일 포스코그룹은 더불어민주당 산업재해예방 TF와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과의 간담회 뒤 “사업장에서 발생한 불의의 사고로 소중한 생명을 잃은 고인과 유가족분들께 깊은 애도와 진심 어린 사과를 드린다”며 “국민 여러분께도 안전 문제로 심려를 끼친 점을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포스코그룹은 이번 사고를 단순한 불가피한 재해로 치부하지 않고, 재해 발생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 그룹의 모든 자원과 역량을 투입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를 위해 8월 1일부터 회장 직속의 ‘그룹안전특별진단 TF’를 출범시키기로 했다.
새로 출범하는 ‘그룹안전특별진단 TF’에 학계와 전문기관, 외부 전문가, 노조 및 직원 대표가 참여시켜 그룹 전반의 안전관리 체계를 진단하고 개선 과제를 도출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포스코는 근로자를 ‘보호의 대상’이 아닌 ‘예방의 주체’로 보고, 현장 근로자와 직원 대의기구에 안전경영 참여 권한을 부여할 방침이다.
![정희민 포스코이앤씨 사장이 29일 인천 송도 본사에서 연이은 현장 사망사고와 관련한 담화문 발표에 앞서 관계자들과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http://www.seoultimes.news/data/photos/20250731/art_17539557252163_494954.jpg?iqs=0.031440236010256806)
포스코는 또 산업 현장의 안전 취약 요인으로 지적돼 온 다단계 하도급 구조를 혁신해 위험의 외주화를 차단하겠다고 밝혔다. 포스코그룹은 전 사업장을 대상으로 하도급 실태를 전수 조사하고, 위반 사례에 대해서는 거래 중단이나 계약 해지 등 강력한 제재를 취할 예정이다.
안전에 대한 투자도 대폭 확대된다. 포스코그룹은 안전을 비용이 아닌 ‘투자’로 보고 매출 대비 일정 비율을 안전 예산으로 편성해 선(先) 집행 후(後) 보고 방식으로 운용할 계획이다. 또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전 전문회사 설립을 추진하며, 글로벌 우수 기업 벤치마킹과 인수합병(M&A)도 검토한다.
AI 기술을 접목한 안전 솔루션 개발 및 공사 안전 플랫폼 구축을 통해 중소 협력업체에도 안전 기술을 지원할 예정이다. 사회적 책임 이행을 위해 ‘산재가족돌봄재단’을 설립, 유가족 지원과 장학사업 등 복지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장인화 회장은 “노동 안전은 기업 경쟁력의 핵심”이라며 “산업재해를 근절하고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가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산업 문화를 만드는 데 포스코그룹이 선도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치는 올들어 포스코이앤씨에서 4차례의 산업재해 사망사고가 잇따르면서 제기된 ‘안전불감증’ 논란에 대한 포스코그룹의 근본적 대응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