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을 움직일 때마다 어깨에 통증이 느껴지고, 어깨 주변으로 무엇인가 걸리거나 집히는 듯한 느낌도 받는다면 어깨충돌증후군의 발병을 의심할 수 있다. 어깨에 발생하는 질환인 어깨충돌증후군은 팔을 사용할 때마다 어깨 힘줄이 부딪히는 것이 주요 발병 원인이다.
그래서 팔을 크게 휘두르는 동작이 많은 야구나 배드민턴, 수영과 같은 운동을 자주 하는 사람들은 어깨충돌증후군을 각별히 조심하는 것이 좋다. 특히 야구는 공을 힘껏 던지거나 야구 배트를 강하게 휘두르는 등 어깨와 팔을 사용하는 동작이 많기 때문에 야구를 즐겨 하는 사람은 어깨에 통증이나 질환의 발생률이 높게 나타나는 편이다.
통증이 가볍고 증상도 경미한 어깨충돌증후군 환자는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충분한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비수술적 치료에는 약물 복용 및 물리치료, 운동 요법 등이 있으며, 통증이 심한 편이라면 주사 요법도 적용한다.
비수술적 치료에도 효과가 나타나지 않거나 선천적 또는 후천적인 기형이 어깨충돌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환자는 수술적 치료가 고려된다. 어깨충돌증후군 수술은 어깨 힘줄이 충돌하지 않도록 견봉을 깎고, 손상된 관절와순을 봉합하는 등의 방식으로 진행된다.
어깨회전근개파열도 어깨통증의 주요 원인이다. 어깨 관절 주변으로는 '회전근개'라고 하는 4개의 근육이 자리하고 있는데, 조직에 자극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면 조직에 파열이 생길 수 있다. 어깨를 무리하게 쓰거나 팔을 크게 휘두르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 올바르지 못한 자세로 어깨 운동을 지속하는 것 등이 회전근개를 파열시키는 원인이 된다.
경미한 파열의 환자는 물리치료와 주사 요법 등의 비수술적 치료를 우선 적용한다. 파열 범위가 넓고 심한 통증이 있는 환자는 파열 부위를 봉합하는 수술적 치료가 고려된다. 파열된 회전근개 조직을 계속 방치하면 파열 부위에 변성이 생겨 봉합 수술 후에도 재파열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가급적 빠르게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권장된다.
<잠실 선수촌병원 박근민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