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타임즈뉴스 = 허성미 기자] 국민연금 제도가 도입 37년 만에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매달 300만원이 넘는 노령연금을 받는 ‘고액 연금자’가 등장했다. 반면 전체 평균 수령액은 68만원 수준에 머물러 가입 기간에 따른 연금 격차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28일 국민연금공단의 ‘2025년 7월 기준 국민연금 공표통계’에 따르면 현재 가장 많은 연금을 받는 수급자의 월 수령액은 318만5040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연기연금 신청이나 20년 이상 장기 가입을 통해 연금액을 불린 데 따른 결과로, 실질적인 노후 생활비로 충분한 수준이라는 평가다.
그러나 전체 노령연금 수급자의 월평균 수령액은 67만9924원으로 나타나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1인 기준 최대 77만원)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이로 인해 일부에서는 국민연금의 실효성에 대한 지적도 나온다.
하지만 가입 기간을 기준으로 보면 상황은 크게 다르다. 국민연금은 기본적으로 납부 기간과 보험료 수준에 비례해 연금이 책정된다.
가입 기간 20년 이상인 ‘완전 노령연금’ 수급자의 월평균 수령액은 112만539원으로 전체 평균을 크게 상회했다. 반면 10~19년 가입자는 평균 44만2177원에 그쳤다. 전문가들이 “연금 재테크는 결국 ‘가입 기간을 얼마나 늘리느냐’에 달렸다”고 조언하는 이유다.
수급 금액 구간을 보면 국민연금의 현재 모습을 더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월 20만~40만원 미만 수급자가 약 291만명(39.7%)으로 가장 많았다. 반면 월 100만원 이상 수급자는 약 99만명(13%), 월 200만원 이상 수급자는 8만2484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연금 수급자 수도 꾸준히 늘고 있다. 2025년 7월 말 기준 국민연금 전체 수급자(일시금 포함 누계)는 754만4930명, 이중 매달 연금을 받는 수급자는 733만8371명이다. 종류별로는 ▲노령연금 620만명 ▲유족연금 107만명 ▲장애연금 6만8천명 순이다.
국민연금 기금 규모 또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같은 시점 기준 기금 운용 규모는 1304조4637억원으로, 올해 들어 7월까지 운용수익만 84조1658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보험료 수입 외에 기금 운용 성과가 연금 재정 안정성을 떠받치는 핵심 축으로 자리잡았음을 의미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