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네이버가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를 품으며 역대급 ‘빅딜’을 성사시켰다. 네이버파이낸셜이 두나무를 완전 자회사로 편입하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기업가치 약 20조원 규모의 초대형 디지털 금융 플랫폼이 탄생하게 됐다.
네이버·네이버파이낸셜·두나무는 26일 각각 이사회를 열어 포괄적 주식교환 계약을 의결했다. 두나무 1주당 네이버파이낸셜 2.54주를 지급하는 조건이다. 기업가치는 각각 4조9000억원과 15조1000억원으로 평가됐다. 이에 따라 두나무는 네이버파이낸셜의 자회사가 되고, 네이버의 손자회사로 편입된다. 신주 발행 규모는 8755만주, 총액은 15조1284억원이다.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은 이날 직접 이사회에 참석해 인수 배경을 설명했다. 이 의장은 27일 성남 네이버 제2사옥에서 송치형 두나무 회장과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통합 청사진을 공개할 예정이다. 증권가는 이번 결합이 네이버 실적 개선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업계에서는 “두나무 실적이 편입되면 네이버 영업이익이 2026년까지 최소 50% 이상 증가할 것”이라며 스테이블코인·블록체인 서비스·토큰증권 등 신규 성장 분야가 열릴 것으로 내다본다.
합병이 완료되면 지배구조에도 큰 변화가 생긴다. 두나무 최대주주 송치형 회장은 네이버파이낸셜 지분 약 19%를 확보해 1대 주주로 올라선다. 반면 네이버의 지분율은 기존 70%에서 17%대로 낮아진다. 다만 네이버는 송 회장·김형년 부회장이 보유한 의결권중 절반 이상을 위임받아 전체 의결권 약 46%를 확보, 실질적인 지배력을 유지한다.
이번 거래로 발생할 기업결합 시너지는 주로 디지털 금융과 블록체인 분야에서 예상된다. 네이버파이낸셜은 두나무의 레이어2 블록체인 ‘기와체인’을 기반으로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고 이를 네이버페이 결제망과 연동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이를 통해 네이버 생태계 전반에 스테이블코인을 유통하며 결제·송금·투자·자산관리 기능을 통합한 ‘금융 슈퍼앱’으로 진화한다는 구상이다.
규제 리스크 역시 비교적 낮다는 평가가 많다. 네이버파이낸셜은 전통 금융회사로 분류되지 않아 금산분리 규제가 직접 적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가상자산사업자(VASP) 대주주 변경을 위한 금융정보분석원(FIU) 적격성 심사는 남아 있다. 향후 과제는 주주총회 통과다. 합병법인 주총은 내년 5월 22일 예정됐다. 반대 주주가 대거 매수청구권을 행사할 경우 최대 3조원대 자금 부담 가능성이 제기된다. 매수청구권 가격은 주당 17만2780원이다.
이번 인수로 네이버와 두나무가 합산한 공정자산은 41조원을 넘어서며, 재계 순위도 기존 22위에서 14위로 뛰어오르게 된다. 단순한 조직 결합이 아니라 금융·커머스·AI·블록체인이 융합된 새로운 형태의 ‘웹3 기반 플랫폼 기업’이 탄생하는 셈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두나무와의 결합을 통해 글로벌 금융·AI 경쟁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할 것”이라며 “한국형 디지털 자산 생태계를 선도하는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