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HD현대오일뱅크가 서울대학교와 손잡고 캠퍼스내 AI 데이터센터에 액침냉각 시스템을 도입하는 실증 프로젝트를 본격화한다. HD현대오일뱅크는 서울대 공과대학, 액침냉각 시스템 운영업체 데이터빈과 함께 ‘인공지능 인프라 액침냉각 실증 프로젝트’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서울대 AI 연구실 서버에서 발생하는 팬 소음과 높은 내부 온도로 인해 연구 환경이 저해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진됐다. 서울대의 AI 연구가 빠르게 확대되면서 고성능 GPU 서버 도입이 늘어났고, 이에 따라 기존 공랭 방식으로는 효율적인 온도 관리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HD현대오일뱅크는 자체 개발한 액침냉각 기술을 적용해 2026년 초부터 AI 연구실의 일부 공랭식 서버를 액침냉각 방식으로 전환해 성능과 안정성을 검증할 계획이다. 서울대는 테스트를 위한 데이터센터 공간과 GPU 서버를 제공하고, HD현대오일뱅크는 액침냉각액 공급과 기술 자문, 유지보수를 맡는다. 데이터빈은 침지냉각 시스템인 ‘SmartBox’를 설치하고 운영 데이터를 분석하며 냉각 효율을 측정한다.
액침냉각 기술은 서버를 비전도성 액체에 직접 담가 열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냉각 효율과 전력 절감 효과가 커 차세대 데이터센터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다만 서버와 냉각액의 호환성, 장기적 안정성 등 실제 환경에서의 검증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국내 대학 연구시설에서 처음으로 AI 서버에 액침냉각을 적용하는 사례로, HD현대오일뱅크가 기술 신뢰성을 입증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회사는 연구소·스마트팩토리 등 중소형 서버 환경 적용 가능성을 확인한 뒤, 향후 대형 데이터센터로 실증 범위를 확대해 기술 상용화 기반을 강화할 계획이다.
HD현대오일뱅크 관계자는 “AI 시대를 맞아 급증하는 데이터센터 전력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 기술로 액침냉각이 빠르게 부상하고 있다”며 “이번 실증을 기반으로 국내 액침냉각 시장 확대를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