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타임즈뉴스 = 허성미 기자] 국내 주요 수출 대기업들의 자금사정이 전반적으로 작년보다 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고환율과 보호무역 확대로 인한 비용 부담이 커지면서 올해 들어 채산성이 낮아졌다는 분석에 힘이 실리고 있다.
26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매출 1000대 수출 제조기업 111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자금사정 인식조사’ 결과, 응답 기업의 27.0%가 작년보다 자금사정이 악화됐다고 응답했다. 호전됐다는 응답은 23.4%에 그쳤으며 절반인 49.6%는 비슷한 수준이라고 답변했다.
자금사정 악화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매출 부진’이 40.0%로 가장 많이 지목됐다. 이어 ‘원재료비 등 제조원가 상승’(23.3%), ‘금융기관 차입비용 증가’(11.1%), ‘인건비·물류비 부담 증가’(10.0%) 등이 뒤를 이었다. 글로벌 경기 둔화와 함께 원자재 조달 여건이 악화되면서 기업들이 전반적인 비용 상승 압력에 직면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기업들은 자금사정에 영향을 주는 대외 리스크 요인으로 ‘환율 상승’(43.6%)을 가장 크게 꼽았다. 미국발 보호무역 강화와 관세 인상(24.9%), 미·중 등 주요국 경기둔화(15.6%), 공급망 불안(9.6%)도 주요 위험 요인으로 나타났다. 한경협은 “환율 급등으로 수입 원가가 높아지고 미국 관세 인상의 여파가 본격화되며 기업들의 채산성이 악화됐다”고 분석했다.
기업 재무건전성의 핵심 지표인 부채비율을 묻는 질문에서도 전년 대비 증가했다는 응답(20.7%)이 감소했다는 응답(12.6%)보다 많았다. 66.7%는 “작년과 비슷하다”고 답해, 부채 부담이 완화되지 않은 상황임을 시사했다.
기업들이 안정적인 자금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 적정하다고 판단한 기준금리는 평균 1.80%로 현재 기준금리(2.50%)보다 낮았다. 이는 잇따른 고금리 부담 속에서 기업들이 금융 비용을 경영 리스크로 크게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자금 수요 역시 증가했다는 응답이 32.4%로 감소했다는 응답(18.0%)보다 크게 높았다. 자금 수요가 가장 많이 발생한 분야는 ‘원자재·부품 매입’(35.7%), ‘설비투자’(30.7%), ‘R&D’(15.3%) 순이었다. 특히 AI 도입·활용을 위한 자금 수요가 늘었다는 응답(18.9%)은 감소했다는 응답(8.1%)보다 2배 이상 높아 기업들이 AI 전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음을 보여준다.
기업들은 자금 관리 지원을 위한 정책 과제로 △환율 변동성 최소화(29.5%) △수출·투자 불확실성 완화(17.1%) △공급망 다변화 통한 원자재 수급 안정화(16.8%) △탄력적 금리 조정(16.2%) 등을 제시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고환율과 관세 인상, 내수 부진이 겹치며 기업들의 자금 경색이 이어지고 있다”며 “세제 지원과 규제 완화로 기업의 숨통을 트이고, AI 전환 등 미래 투자를 위한 여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