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7.1℃
  • 맑음강릉 14.8℃
  • 맑음서울 10.3℃
  • 맑음대전 11.0℃
  • 맑음대구 11.3℃
  • 맑음울산 11.5℃
  • 구름많음광주 13.7℃
  • 구름많음부산 14.7℃
  • 구름조금고창 9.1℃
  • 구름많음제주 16.1℃
  • 맑음강화 6.7℃
  • 맑음보은 7.9℃
  • 맑음금산 8.9℃
  • 구름조금강진군 12.1℃
  • 구름조금경주시 9.7℃
  • 구름많음거제 11.8℃
기상청 제공
메뉴

애경산업, 3분기 매출 1693억원, 영업이익 73억원

중국외 글로벌 시장 확대 및 디지털 마케팅 강화로 브랜드 저변 확대

[서울타임즈뉴스 = 서연옥 기자] 애경산업이 올해 3분기에도 글로벌 경기 둔화와 중국 소비 침체의 여파를 피하지 못했다. 다만, 글로벌 시장 다변화와 디지털 마케팅 강화를 통해 브랜드 저변 확대에 나서며 중장기 성장 기반을 다지는 모습이다.

 

애경산업은 4일 공시를 통해 2025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 1,693억 원, 영업이익 73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2.4% 증가했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23.6% 감소했다. 누적 기준으로는 매출 4,916억 원, 영업이익 245억 원을 기록해 각각 3.2%, 43.7% 감소했다.

 

사업부문별로는 화장품 부문이 부진한 흐름을 이어갔다. 3분기 화장품 매출은 515억 원으로 전년대비 9.7% 줄었고, 영업이익도 45.8% 감소한 21억 원에 그쳤다. 애경산업은 이에 대응해 신규 브랜드 론칭과 글로벌 확장을 통한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주력하고 있다.

 

중국 시장에서는 내수 소비 위축으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에이지투웨니스’의 ‘수퍼 엑토인 프라임 파운데이션 팩트’ 등 신제품을 선보이며 매출 회복을 모색중이다. 특히 틱톡 등 디지털 채널 중심의 마케팅 강화로 브랜드 인지도 제고에 나섰다. 미국 시장에서는 신흥 스킨케어 브랜드 ‘시그닉’을 출시하고, 주력 브랜드 경쟁력을 높이며 현지 시장 확대를 지속하고 있다.

 

대표 브랜드 AGE20’S는 컬러 쉐이드를 20개 호수까지 확대하고, 콘텐츠 중심의 소비자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해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 또 다른 화장품 브랜드 ‘루나’는 러시아, 영국 등으로 진출하며 글로벌 입지를 넓히고 있다.

 

일본 시장에서는 신제품 론칭 행사와 인플루언서 협업 등 현지 맞춤형 마케팅을 통해 존재감을 높였다. 국내에서도 루나와 ‘투에딧’, ‘닷솔루션’ 등이 H&B 채널과 다이소 등 주요 유통망에서 견조한 성장을 보였다.

 

생활용품 부문은 비교적 선방했다.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1% 증가한 1,146억 원을 기록했지만, 원부자재 가격 상승으로 영업이익은 54억 원으로 5.8% 감소했다. 퍼스널케어 중심의 신제품 출시와 카테고리 확장으로 국내외 매출이 성장세를 이어갔다.

 

국내에서는 온라인 경쟁력을 강화하고, H&B 및 다이소 채널에서 판매 호조를 보였다. 해외에서는 ‘케라시스(KERASYS)’와 ‘샤워메이트)’가 미주·유럽 등 신규 시장에서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럽센트’, ‘블랙포레’, ‘바이컬러’ 등 프리미엄 브랜드의 해외 진출도 본격화되고 있다.

 

애경산업 관계자는 “소비 환경이 빠르게 변하는 만큼 프리미엄 중심의 수익성 강화, 글로벌 시장 확대, 성장 채널 대응 강화 등을 추진할 것”이라며 “시장별 경쟁력을 높여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오늘의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