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셀트리온이 미국 바이오텍 기업 카이진과 손잡고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개발에 본격 나선다. 회사는 4일 “미국 메릴랜드주에 본사를 둔 카이진과 항체 기반 신약 후보물질 2종에 대한 독점적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셀트리온은 카이진의 비임상 단계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KG006’의 중국·일본을 제외한 전세계 독점 개발 및 판매 권리와, ‘KG002’의 글로벌 개발·생산·판매 권리를 확보했다. 총 계약 규모는 최대 약 1조 620억 원으로, 여기에 선급금 약 114억 원과 개발·판매 단계별 마일스톤(성과급)이 포함된다. 또한 상업화 성공 시 순매출의 5~10% 수준의 로열티가 추가로 지급될 예정이다.
카이진은 병인성 자가항체를 선택적으로 분해하는 독자 기술 ‘PDEG™’ 플랫폼을 보유한 신흥 바이오기업으로, 다중 항체 기반의 차세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개발에서 글로벌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셀트리온이 확보한 두 후보물질은 FcRn(태아 Fc 수용체) 기전을 기반으로 하는 신약이다. FcRn은 면역글로불린G(IgG)와 결합해 체내에서 면역항체가 분해되지 않고 재순환되도록 돕는 수용체 단백질이다. 이를 억제하면 체내 병인성 자가항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자가면역질환 치료의 차세대 타깃으로 떠오르고 있다.
실제 FcRn 억제제는 기존 TNF-α 억제제, 인터루킨(IL) 억제제 이후 등장한 3세대 면역조절 치료 기전으로, 중증 근무력증, 루푸스, 자가면역성 피부질환 등 다양한 적응증으로의 확장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높은 성장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다.
셀트리온은 이번 계약을 통해 신약 중심의 R&D 포트폴리오를 한층 강화하게 됐다. 회사는 올해 초 항체약물접합체(ADC), 이중항체 등 차세대 항암 신약 개발 로드맵을 발표했다. 항암 신약 CT-P70과 CT-P71이 이미 임상 1상 단계에 진입해 있다. 여기에 자가면역질환 신약군을 새롭게 확보하면서, 항암·면역질환 분야로 사업을 이원화하는 전략적 발판을 마련했다.
셀트리온은 그간 TNF-α 억제제 ‘램시마’, 인터루킨 억제제 ‘유플라이마’ 등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바이오시밀러를 통해 글로벌 시장 경쟁력과 기술 신뢰도를 입증해왔다. 회사는 이러한 축적된 임상 경험과 생산 인프라를 기반으로 FcRn 억제제 개발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계약이 셀트리온의 ‘신약개발사 전환’ 전략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평가한다. 특히 카이진의 PDEG™ 기술력과 셀트리온의 글로벌 개발·제조 역량이 결합되면, FcRn 억제제 시장에서 경쟁사 대비 빠른 상용화가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이번 계약을 통해 자가면역질환 분야에서도 신약 개발 단계로 본격 진입했다”며 “차별화된 기전을 가진 후보물질을 확보한 만큼, 글로벌 신약 개발사로서 입지를 강화하고 미충족 의료 수요 해소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은 향후 카이진과의 협업을 확대해 PDEG™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추가 신약 공동개발도 검토할 방침이다. 회사는 “항체 의약품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혁신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글로벌 바이오 시장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