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메뉴

케이뱅크 올해 1분기 신규 중·저신용대출 비중 26.3%…잔액 기준시 35.0% 1위

카카오 33.7%·토스 30.4%…잔액 기준 3사 전부 30% 웃돌아
케이뱅크 신규 중·저신용대출 비중 26.3%…목표치 미달
잔액기준 케이뱅크 낮아진 반면 카카오뱅크·토스뱅크 상승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올해 1분기 케이뱅크의 신규취급액 기준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이 26.3%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카카오뱅크는 33.7%를 기록했다. 토스뱅크도 30.4%로 목표를 넘겼다.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 3사중 케이뱅크만 금융당국의 공급 목표치 30%를 채우지 못한 셈이다.

 

하지만 잔액 기준으로는 인터넷은행 3사 모두 30%를 넘었다. 업체별로는 케이뱅크가 35.0%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토스뱅크 34.3%, 카카오뱅크 32.8% 순이다. 케이뱅크는 전 분기보다 낮아진 반면 카카오뱅크와 토스뱅크는 상승하는 등 대조를 이뤘다.

 

23일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케이뱅크의 신규 취급 신용대출 중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 비중(평잔 기준)은 26.3%로 집계됐다. 반면 카카오뱅크는 33.7%, 토스뱅크는 30.4%로 나타났다. 이같은 수치는 은행의 1분기 가계 신용대출, 개인사업자 신용대출, 서민대출중 보증 한도 초과 대출 신규 취급액에서 KCB 기준 신용평점 하위 50% 차주에 대한 개인신용대출, 개인사업자 신용대출, 서민금융대출중 보증 한도 초과 대출 신규 취급액이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한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인터넷은행의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 목표를 '평잔 30% 이상'으로 통일했다가, 올해부터 '신규취급액 30% 이상' 기준도 추가했다. 신규 취급액이 아닌 잔액 기준으로는 인터넷은행 3사 모두 30%를 넘었다. 기존에 공시되던 평잔 기준으로는 3사 모두 목표치를 넘겼다. 케이뱅크는 35.0%로 3사중 가장 높았으나 전 분기 35.3%보다는 약간 낮아졌다. 카카오뱅크(32.2%→32.8%)와 토스뱅크(34.0%→34.3%)는 전 분기보다 소폭 상승했다.

 

케이뱅크는 올해 1분기 신규취급액 기준 중·저신용대출 비중이 30%를 밑도는 것과 관련해 "평균 잔액은 조기에 공급할수록 반영률이 높아지는 특성이 있다"며 "1월보다 2,3월에 중·저신용대출 비중이 높았다"고 설명했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올해 1분기 신규 공급한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규모가 2544억원이다"며 "1분기 전체 신규 신용대출 공급액중 중·저신용자 대상 공급액 비중은 목표치인 30%를 웃돌았다"고 밝혔다. 케이뱅크가 지난 2017년 출범 이후 누적 공급한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규모는 7조4203억원이다.

 

카카오뱅크 측은 "올해 1분기 중·저신용대출 평균 잔액이 4조9000억원으로, 매 분기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카카오뱅크가 지난 2017년 출범한 이후 취급한 중·저신용대출은 누적 13조원을 넘어섰다. 토스뱅크는 "지난 2021년 출범 이후 올해 1분기까지 9조원 규모의 중·저신용대출을 공급했다"고 밝혔다.


오늘의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