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31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메뉴

"美 관세 직격탄 맞은 기아"...3분기 글로벌 판매 실적 사상 최대에도 영업이익 '반토막'

3분기 매출 28조6861억원…전년 동기대비 8.2% 증가
최대 판매 및 매출액 기록...친환경차 등 공략 목표
대미 관세 영향 수익성 급감...SUV 확대 평균가 상승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기아가 올해 3분기 글로벌 시장에서 사상 최대 판매와 매출 실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우수한 판매실적에도 불구하고 미국발(發) 고율 관세 등의 여파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대비 절반 수준으로 감소하는 등 신통치 않은 성적표를 받았다.

 

31일 기아가 발표한 연결재무제표 기준 3분기 실적에 따르면, 매출은 28조6,861억 원으로 전년 대비 8.2% 증가했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1조 4,622억 원으로 49.2% 급감했다. 당기순이익도 1조4,225억 원으로 37.3% 감소했다. 경상이익은 1조8,868억 원으로 41.6% 줄었다.

 

이번 분기 기아는 도매 기준 글로벌 시장에서 총 78만 5,137대를 판매하며 역대 3분기 기준 최대 판매량을 기록했다. 국내 판매는 전년대비 10.2% 증가한 13만 8,009대를 기록했다. 쏘렌토와 카니발 등 고수익 레저용(RV) 차종과 EV4 신차 효과가 성장을 견인했다. 해외 판매는 64만 7,128대로 1.4% 증가했다. 북미 시장에서는 하이브리드(HEV) 수요 강세를 중심으로 판매가 확대됐다.

 

아태와 중남미 등 신흥 시장에서도 판매량을 늘리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다만 서유럽은 EV3 판매 호조에도 불구하고 슬로바키아 공장의 전동화 전환에 따른 일부 모델 단산과 한시적 생산 조정으로 판매가 감소했다. 인도는 상품서비스세 인하 전 대기수요 영향으로 판매가 줄었다.

 

친환경차 판매도 두드러졌다. 3분기 친환경차 판매량은 전년 대비 32.3% 증가한 20만 4000대를 기록하며 전체 판매의 26.4%를 차지했다. 유형별로는 하이브리드 11만 8천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1만 7000대, 전기차 7만대가 판매됐다. 시장별 친환경차 판매 비중은 국내 47.1%, 서유럽 46.0%, 미국 24.6%로 집계됐다. 이는 친환경차 수요가 꾸준히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기아는 3분기 실적 호조에도 불구하고 미국발 관세 부담과 글로벌 인센티브 확대, 환율 급등 등 외부 요인으로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매출원가율은 미국 관세 영향으로 전년 대비 4.3%포인트 상승한 81.1%를 기록했고, 판매관리비율은 판매보증비와 연구개발(R&D) 비용 증가로 13.8%로 집계됐다. 영업이익률은 5.1%였다. 기아는 3분기 영업이익 감소분 약 1조4000억 원 중 약 1조2000억 원이 미국 관세 영향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다만 기아는 4분기부터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관세율이 기존 25%에서 15%로 인하됨에 따라 수익성 개선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관세 인하 효과는 12월부터 판매되는 물량에서 본격적으로 나타날 전망이며, 기존 재고에는 소급 적용되지 않아 즉시 반영되지는 않을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기아는 친환경차 수요 확장 트렌드에 맞춰 하이브리드 라인업 확대와 전기차 신차 사이클을 통한 성장 가속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국내에서는 고수익 RV 중심의 하이브리드 판매를 지속 확대하고, 기아 최초 픽업트럭 타스만을 통해 신규 세그먼트에 안착하는 한편 EV5, PV5 등 신차를 활용해 친환경차 비중을 높일 방침이다.

 

미국 시장에서는 유연한 생산체제를 활용해 인기 모델 하이브리드 라인업을 확대하고, 유럽에서는 EV4, EV5, PV5 투입으로 전기차 라인업을 강화해 전동화 선도 브랜드 이미지를 지속 강화할 계획이다. 인도 시장에서는 시로스 신차 모멘텀 유지와 셀토스 완전변경 모델 출시, 신규 딜러 확대를 통해 판매와 서비스 네트워크를 강화한다.

 

김승준 기아 재경본부장은 콘퍼런스콜에서 “판매 성장과 제품 부가가치 개선, 고정비 및 원가 절감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며 “외부 환경 변화에도 흔들리지 않는 단단한 수익 구조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EV4·EV5·PV5가 본격 인도되며, 내년 초 저가형 전기차 EV2 진출로 전동화 풀라인업을 완성해 성장세를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

 

기아는 이번 3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글로벌 판매 확대와 친환경차 성장이 실적 호조를 견인했음에도 대외적 요인으로 수익성은 일시적으로 악화됐음을 분명히 했다. 그러나 내년부터 전동화 라인업 확장과 글로벌 생산 효율화, 원가 절감 등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수익성을 회복할 전략을 제시했다.


오늘의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