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SK텔레콤(대표이사 유영상)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3조9781억원, 영업이익 484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12.2% 감소한 금액이다. 영업이익도 90.9% 줄었다. 별도 기준으로는 매출 2조6647억원, 영업손실 522억 , 당기순손실 2066억원으로 집계됐다.
SK텔레콤의 경우 고객 감사 패키지’ 시행 등 일회성 요인이 3분기 실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통신 부문은 전분기 대비 회복세를 보이며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갔다. 5G 가입자는 1726만명으로 전분기보다 24만명 늘었고,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도 순증세로 전환됐다. 유무선 통신 시장의 기초 체력은 유지되고 있다는 평가다.
AI 관련 신사업은 SK텔레콤의 미래 성장 축으로 자리 잡고 있다. AI 데이터센터(AI DC) 사업은 판교 데이터센터 인수 효과와 GPU 임차지원사업 수주에 힘입어 1,498억 원의 매출을 거뒀다. AI 서비스 플랫폼(AIX) 사업도 557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35.7% 성장했다.
SKT는 전사에 분산된 AI 역량을 ‘AI CIC’ 체제로 재편하며, AI 중심의 사업 구조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8월에는 AWS와 함께 추진중인 울산 AI 데이터센터 기공식을 열어 본격적인 구축 단계에 들어섰다. 오픈AI와 서남권 전용 AI 데이터센터 구축 MOU를 체결해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다.
AI 서비스 ‘에이닷(A.)’은 ‘A.X 4.0’과 ‘GPT-5’ 기술을 적용해 대화 품질과 서비스 확장성을 높였다. 티맵에 확대 적용되며 고객 접점을 강화했다. ‘에이닷 비즈’를 중심으로 금융·유통 등 다양한 산업군으로의 확산도 추진중이다. 또 SK텔레콤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국가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참여해 국내 AI 기술 생태계 조성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도 힘을 보태고 있다.
SK텔레콤은 고객 신뢰 회복과 정보보호 혁신에도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고 있다. ‘제로 트러스트 기반의 보안 체계 구축을 목표로, 향후 5년간 총 7,000억 원을 투입하는 ‘정보보호혁신안’을 마련했다. 이는 KISA(한국인터넷진흥원) 2.0 가이드라인을 준용해 글로벌 최고 수준의 보안 체계를 구현하기 위한 조치다.
또 지난 8월부터 시행중인 ‘고객 감사 패키지’를 통해 통신요금 감면, 데이터 추가 제공, T멤버십 제휴사 할인 등 총 5000억원 규모의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6개월내 재가입 고객의 멤버십 등급 복원 제도도 도입해 고객 만족도 제고에 나서고 있다. 김양섭 SK텔레콤 CFO는 “고객 신뢰 회복을 최우선으로 삼아 AI 사업에서 본격적인 성과를 내고,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단단한 회사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