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7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메뉴

[의학칼럼] 아킬레스건 파열, 조기 진단과 신속한 치료가 중요

여가 시간에 스포츠 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다. 스포츠 활동 시 격렬하게 움직이다 보면 신체에 부상을 입을 수 있는데, 특히 발목 뒤쪽에 있는 아킬레스건에 염증이 생기거나 파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아킬레스건은 종아리 근육과 발뒤꿈치를 연결하는 굵은 힘줄로서 발목 관절 기능의 약 70%를 담당하고 있다. 아킬레스건을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조직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면 염증 및 파열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아킬레스건에 염증이 생기면 발목 뒤쪽으로 통증이 느껴진다. 또한 아킬레스건 부위가 붉게 변하거나 부어오르기도 하며, 발을 무리하게 사용하고 난 직후에 통증이 악화되기도 한다. 아킬레스건염 환자는 약물치료, 주사치료, 물리치료와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진행하여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아킬레스건염을 초기에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조직이 점차 약화되어 파열될 위험이 높아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아킬레스건은 한 번 파열되면 자연치유가 어렵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가 필수적이다.

 

격렬한 운동 중에 ‘뚝’ 하는 소리와 함께 발뒤꿈치 쪽에서 극심한 통증이 느껴졌다면 아킬레스건파열을 의심해야 한다. 아킬레스건에 파열이 생기면 통증으로 보행이 힘들어지고 까치발을 드는 동작이 어려워질 수 있다. 아킬레스건파열은 이학적 검사 및 정밀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으며, 조직의 파열 양상에 따라 비수술치료 및 수술치료를 진행한다.

 

아킬레스건의 파열 범위가 넓거나 조직이 완전히 끊어진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수술은 주로 봉합술 및 재건술이 시행되는데, 조직의 파열이 심하지 않고, 염증이 거의 없는 상태라면 봉합술을 적용할 수 있지만 아킬레스건염이 만성으로 진행된 경우, 아킬레스건 파열 부위의 간격이 벌어져 있는 경우 등에서는 재건술이 고려된다.

 

파열된 아킬레스건을 방치하면 조직의 파열 간격이 점점 더 벌어지게 되어 수술 후 예후가 좋지 않을 수 있으므로 가급적 빠르게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권장된다. 아킬레스건파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과격한 활동은 제한하고 운동 전후에 스트레칭을 충분히 해야 한다. 또한 유연하고 푹신한 신발을 착용하여 아킬레스건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이는 것도 도움이 된다.

<잠실 선수촌병원 배상원 원장>


오늘의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