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2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메뉴

"172조원 규모 치매머니 공략하라"...교보생명 ‘평생안심신탁’ 고령층에 인기

‘60~70대 여성’ 중심, ‘1억원 이하’ 계약 금액이 80% 차지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교보생명(대표 신창재)이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라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치매머니’ 해결책으로 선보인 ‘평생안심신탁’이 60~70대 고령층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고 2일 밝혔다. 출시 한 달도 되지 않아 100호 계약을 돌파하며 시장의 높은 관심을 확인했다.

 

교보생명은 지난달 3일, 치매나 중증질환으로 인지 능력이 저하된 65세 이상 고령자의 금융계좌가 동결돼 자금을 활용할 수 없는 이른바 ‘치매머니’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평생안심신탁을 출시했다. 국내 치매머니 규모는 약 172조 원으로, 국내총생산(GDP)의 6.9%에 달한다.

 

치매머니는 병원비∙간병비 등 예기치 못한 지출이 급증하는 노후 시기에 자금이 묶여 가족이 활용할 수 없고, 결국 상속세 부담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국가경제 차원에서도 현금 유동성이 줄어들어 내수가 위축되고, 사회적 손실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초래해 심각한 사회 문제로 꼽히고 있다.

 

한국보다 20년 먼저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일본은 현재 치매머니 규모가 240조 엔(한화 2,300조원)으로 GDP의 40%에 달한다. 교보생명 평생안심신탁은 가입자가 평상시에는 일반 금융계좌처럼 자유롭게 이용하다가 중증치매나 중증질환으로 스스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렵다는 의료적 진단을 받으면, 사전에 지정된 후견인이 대신 신탁 계좌를 관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평생안심신탁 100호 계약자인 60대 후반 남성은 “친구가 뇌경색으로 쓰러진 후 계좌에서 현금 인출이 막혀 가족이 큰 어려움을 겪는 것을 보고, 평생 모은 재산을 잃지 않기 위해 현금을 모두 안심신탁 계좌에 맡기기로 결심했다”고 계약 동기를 밝혔다.

 

계약 현황을 살펴보면 여성 가입자가 76%로 남성(24%)보다 많았다. 연령대는 70대(51%)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이어 60대(23%), 80대(18%), 50대(8%) 순이었다. 계약 금액은 ‘1억 원 이하’가 79%로 대다수를 차지했으며, ‘1억~5억 원 미만’(17%), ‘5억~10억 원 미만’(3%), ‘10억 원 이상’(1%)이 뒤를 이었다. 계약 잔고는 평상시에 수시로 입출금이 가능해 유동적으로 변동된다.

 

교보생명은 지난해 7월 종합재산신탁 사업에 본격적으로 진출한 이후 보험금청구권신탁∙유언대용신탁 등 보험업계에서 맞춤형 신탁 서비스를 선제적으로 제공하며, 종합재산신탁 시장을 선점해 나가고 있다.

 

김계완 교보생명 종합자산관리팀장은 “지난해부터 초고령사회가 이미 시작된 만큼, 금융기관도 서둘러 다양한 서비스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데 앞장서야 한다”며 “교보생명은 앞으로도 맞춤형 종합재산신탁 상품을 제공함으로써, 고령층이 직면한 재산 관리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오늘의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