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해킹 때문에…”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이 해킹 때문에 고개를 숙였다. SK텔레콤 유영상호(號)가 해킹 악재에 발목이 잡혀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신통치 않은 부진한 2분기 성적표를 받은 것이다.
SK텔레콤(CEO 유영상)은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4조3,388억원, 영업이익 3,383억원, 당기순이익 832억원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이기간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1.9%, 영업이익은 37.1% 감소했다. 특히 당기순이익은 감소폭이 무려 76.2%에 달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이 모두 줄어들면서 사실상 '어닝 쇼크'급 실적을 보인 셈이다.
2분기 해킹으로 인한 고객 유심 교체와 대리점 손실보상 등 일회성 비용이 반영됐기 때문이다. 별도 기준 매출은 3조1,351억원, 영업이익 2,509억원, 당기순이익 369억원을 나타냈다.
AI 사업이 전년 동기대비 13.9% 성장하며 2분기 실적을 이끌었다. AI DC 사업은 가동률 상승에 따라 13.3% 증가한 1,087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AIX 사업은 B2B 솔루션 판매 확대에 힘입어 15.3% 성장한 468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SKT의 AI 에이전트 서비스 ‘에이닷’은 7월 말 기준 누적 가입자 1000만명을 돌파했다. 최근 출시한 ‘에이닷 노트’와 ‘브리핑’ 베타 서비스는 1개월 만에 누적 사용자 80만 명을 기록했다. 또 SKT는 지난 6월 아마존웹서비스(AWS), SK그룹 멤버사들과 함께 국내 최대 규모의 하이퍼스케일 AI 전용 데이터센터 구축 계획을 발표했다.
울산 AI DC는 2027년 가동을 목표하며 SK그룹 전반의 역량을 기반으로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SKT는 울산 AI DC에 이어 서울 구로 DC가 가동되는 시점에 총 300MW 이상의 데이터센터 용량을 확보했다. 데이터센터 가동률 상승에 따라 2030년 이후 연간 1조 원 이상의 매출이 기대된다.
SKT는 사이버 침해 사고 이후 단기 실적보다 장기적인 고객 신뢰 회복을 최우선 가치로 삼고 ‘책임과 약속’ 프로그램을 마련해 고객 보호 및 정보보호 강화에 전사적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책임과 약속’ 프로그램은 ▲고객 피해 방지를 위한 ‘고객 안심 패키지’ ▲5년간7,000억 원 규모의 정보보호 강화 투자 ▲전 국민 대상의 보상 혜택을 담은 ‘고객 감사 패키지’ 등으로 구성된다.
‘고객 안심 패키지’의 일환으로 SKT는 국내외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을 완료했으며, 유심 교체를 무상 제공하고 있다. 또한 비정상 인증 차단 시스템(FDS)도 최고 단계로 격상해 운영중이다.
SKT는 유심 복제 등으로 인한 피해에 대비해 ‘사이버 침해 보상 보증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글로벌 최고 수준의 모바일 보안 솔루션 짐페리움을 전 고객에게 1년간 무상 제공할 예정이다. SKT는 ‘제로 트러스트’ 기반의 글로벌 최고 수준 정보보호 체계 구축을 목표로, 향후 5년 간 총 7,000억원 규모를 투자하는 ‘정보보호혁신안’도 발표했다.
SKT는 고객 신뢰 회복을 위해 ‘고객 감사 패키지’를 마련했다. 8월 한달간 통신 요금 50% 감면, 연말까지 매월 데이터 50GB 추가 제공, T멤버십 제휴사 릴레이 할인 확대 등 총 5,000억원 규모의 혜택을 제공할 예정이다. 해지 고객이 6개월 내 재가입할 경우 기존 멤버십 등급 및 가입 연수를 복구해주는 제도도 운영해 고객의 실질적 만족을 높일 계획이다.
SKT는 사고 이후 고객 신뢰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고객의 목소리와 함께 고객신뢰위원회 및 그룹 정보보호혁신특별위원회의 자문과 권고를 반영했다. 이를 바탕으로 본업인 통신 재정비는 물론, ‘돈 버는 AI’ 전략도 흔들림 없이 추진할 계획이다.
SKT 김양섭 CFO는 “이번 사이버 침해 사고를 냉정하고 되돌아보고, 철저하게 개선해 나갈 것”이라며, “다시 시작하는 SK텔레콤의 변화와 도약에 지속적인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린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