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1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메뉴

삼성SDI, 2분기 영업손실 3978억원 "적자전환"

전분기 대비 매출 규모 유지…손실폭 축소 매출 전년대비 22% 감소
하반기 점진적 실적 개선 전망되나 관세 정책 등 불확실성 지속 예상
라인 운영 효율화, 신제품 기반 수주 확보로 중장기 성장 추진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삼성SDI가 적자전환했다. 삼성SDI(사장 최주선)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손실이 3978억원을 기록하하는 등 적자 전환했다고 31일 공시했다. 이 기간 매출은 3조1794억원으로 22.19% 감소했다. 또 전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0.1% 늘었고 손실 규모는 8.4%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주력 사업인 배터리 부문은 매출 2조9612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23.5% 급감했다. 전분기와 비교하면 감소폭이 0.7%다. 영업손실은 4308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4.8% 축소됐다. 전년 동기대비로는 적자 전환이다. ESS(에너지저장장치)와 BBU(배터리 백업 유닛) 매출이 늘었음에도 전기차 수요 둔화가 발목을 잡았다. 또 매출 회복 지연에 따른 고정비 부담과 관세 영향으로 ESS 수익성도 하락했다. 다만 소형 배터리의 수익성 개선이 손실 폭을 다소 완화했다.

 

전자재료 부문은 매출 2182억원으로 전년대비 2.4%, 전분기 대비 11.4% 증가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주요 고객사의 신규 스마트폰 출시로 OLED 소재 판매가 확대됐다. 반도체 웨이퍼 생산 증가도 실적 개선에 기여했다. 영업이익은 33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증가했다. 상반기 삼성SDI는 불확실한 경영 환경 속에서도 전기차 배터리와 ESS 부문 수주 활동에 주력했다.

 

유럽 글로벌 완성차 업체와 프리미엄 전기차용 46파이 원통형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미국과 유럽 주요 업체들과는 LFP 및 NCA 각형 배터리 협의가 진행중이다. ESS 부문에서는 국내 제1차 ESS 중앙계약시장 입찰에서 다수의 프로젝트를 따냈고, 미국 전력용 ESS 프로젝트 수주에도 성공해 연내 현지 양산을 앞두고 있다.

 

삼성SDI는 하반기 매출 확대와 수익성 개선을 위해 다양한 전략을 추진한다. 전기차 배터리 부문에서는 미국 내 합작법인 SPE(StarPlus Energy)의 라인 운영 효율화와 함께 각형 LFP 배터리 등 신제품으로 보급형 전기차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ESS 부문은 미국 현지 양산체제 구축과 국내 전력망 안정화 프로젝트 참여를 확대하고, AI 데이터센터 수요 대응을 위해 초고출력 UPS 배터리 수주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소형 배터리 부문은 BBU용 고출력 제품과 신규 탭리스 원통형 배터리를 중심으로 전동공구 시장 확대를 노린다는 방침이다. 또 전자재료 부문은 OLED 및 반도체 소재 수요 증가에 맞춰 신규 플랫폼 공급과 신제품 출시로 점유율을 확대할 방침이다. 삼성SDI 관계자는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도 핵심 전략을 차질 없이 실행해 실적 회복과 중장기 성장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오늘의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