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여성은 자연스럽게 월경기간을 맞는다. 적지 않은 경우에서 이 때 생리통을 겪게 되는데, 부인과적 증상으로 개인에 따라 통증의 반응이 약하게 혹은 심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허나, 평소 생리통이 적던 2~30대 성인 여성이 갑작스레 통증이 심해졌다면 질환으로 인한 문제일 수 있다. 만약, 통증이 꾸준이 이어진다면 참지 말고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갑작스런 생리통이 심화는 일반적으로 자궁내막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 이는 자궁 안에 있어야 할 자궁내막 조직이 다른 부위의 조직에 부착하여 증식하는 양성질환을 말한다. 통증이 하복부 여러 군데서 느껴질 수 있기 때문에, 만약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지 못하고 치료 시기를 놓치게 된다면 다른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어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하다.
또한, 난소 조직에 자궁내막증이 생기면 난소 기능이 저하되거나 복강 내 장기 유착으로 인한 배란 이상 등, 자궁내막 기능저하로 임신 준비 시 수정 및 착상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 조금이라도 평소와 달리 월경통이 심하거나 골반통이 지속될 때는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간단한 문진과 초음파 검사 및 등 혈액검사 갑상선기능 검사, MRI영상정밀검사 등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해야한다.
치료는 크게 호르몬 약물 치료법와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다. 호르몬 치료의 경우 에 자궁내막증 조직의 성장을 촉진하는 에스트로겐의 합성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를 통해 자궁내막증 조직의 위축을 유도하고, 진행을 더디게 하는 효과를 유도한다. 종류는 경구용 복합 호르몬제, 디에노게스트제, 성선자극호르몬 분비 호르몬작용제 등이 사용된다.
다만, 치료는 환자의 개인별 증상과 나이, 임신 준비 여부를 고려하여 1:1 개인별 맞춤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임신을 계획하고 있거나 젊은 나이의 가임기 여성의 경우 난소기능을 충분히 살릴 수 있도록 세심한 치료 계획이 필요하다.
보통 자궁내막증은 평소 생활 식습관 관리만으로는 예방이 어렵다. 또한, 약물치료를 한 후에도 2~4년이내 30~40%정도는 다시 재발할 수 있는 질환이다. 이에 정기적인 산부인과 진료와 검진으로 조기 발견하고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리통이 주기적인 예정기간이 아님에도 극심한 통증이 나타나거나, 통증의 정도가 점차적으로 심하다고 느끼면 약국에서 먹는 진통제로 버티지 말고 부인과진료를 통해 상담 및 의료진의 조언을 듣는 것이 좋다.
<청담산부인과 부인과 외래 임선옥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