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1 (금)

  • 구름조금동두천 11.6℃
  • 맑음강릉 12.8℃
  • 구름조금서울 12.3℃
  • 맑음대전 12.5℃
  • 맑음대구 12.4℃
  • 맑음울산 12.8℃
  • 맑음광주 12.7℃
  • 맑음부산 14.0℃
  • 구름조금고창 11.7℃
  • 구름조금제주 15.9℃
  • 구름조금강화 11.0℃
  • 맑음보은 10.6℃
  • 맑음금산 12.2℃
  • 구름조금강진군 13.6℃
  • 맑음경주시 12.8℃
  • 맑음거제 12.7℃
기상청 제공
메뉴

대한항공, 삼성E&A 손잡고 미국發 지속가능항공유 시장 진출

삼성E&A와 ‘K-SAF 동맹’ 맺고 美 저탄소 항공연료 시장 공동 공략
목질계 폐기물 가스화 합성연료 생산…2세대 SAF 핵심기술 기반 에너지 신사업 발굴
항공업계 ‘탄소중립 2050’ 향한 구체적 청사진 마련…글로벌 SAF 공급망 구축 선도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대한항공이 삼성E&A와 손잡고 미국발 지속가능항공유(SAF) 시장에 진출한다. 양사는 21일 지속가능항공유(SAF)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히며 글로벌 친환경 항공 연료 공급망 구축을 위한 전략적 협력에 나섰다. MOU는 ▲해외 SAF 생산 프로젝트 발굴 ▲SAF 장기 구매 참여 검토 ▲SAF 기술 및 프로젝트 투자 ▲대한항공의 삼성E&A ‘SAF 기술 동맹’ 참여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이번 파트너십은 각사가 보유한 역량을 결합해 안정적인 SAF 생산·공급 구조를 확립하고, 성장성이 큰 글로벌 SAF 시장에서 선제적 사업 기회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양사는 첫 협력 무대로 SAF 기술·인프라가 세계 최고 수준인 미국 시장을 지목했다. 미국은 원료 수급이 용이하고 정책적 지원도 활발해 차세대 SAF 생산의 최적지로 꼽힌다.

 

삼성E&A는 글로벌 EPC(설계·조달·시공) 전문 기업으로서 미국에서 추진 중인 2세대 SAF 플랜트 건설 프로젝트 참여를 검토하고 있다. 적용 예정 기술은 ‘가스화-피셔 트롭시(FT)’ 방식으로, 목재 폐기물 등을 고온 가스화 후 액체연료로 전환하는 차세대 SAF 기술이다. 기존 1세대 SAF가 폐식용유 등 제한된 원료에 의존했던 한계를 넘어, 비식용·폐기성 바이오매스까지 활용해 원료 다변화와 탄소 감축 효과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는 기술이다.

 

대한항공은 해당 플랜트의 SAF를 장기 구매하는 오프테이커 참여를 검토중이다. 이는 일정 생산량 구매를 약속해 신사업의 안정적 운영을 가능하게 하고, 글로벌 SAF 시장 확대에 기여하는 역할이다. 해외 주요 항공사인 델타항공·유나이티드항공·에어프랑스 등이 이미 같은 방식으로 대규모 SAF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다.

 

이번 협력은 정부가 추진 중인 6대 전략 산업군인 ‘ABCDEF(인공지능·바이오·콘텐츠·방산·에너지·제조업)’ 중 에너지(E) 신사업을 개척하는 대표 사례로도 평가된다. 에너지 밸류체인의 시작(생산 기술)과 끝(수요처)이 모두 국내 기업인 삼성E&A와 대한항공의 협력은 한국 기업의 해외 에너지 시장 공동 진출 모델을 제시한다는 의미도 담고 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이번 협력은 글로벌 항공업계의 탄소중립(넷 제로) 2050 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중요한 계기”라며 “SAF 사용 의무화 등 국제 규제 대응과 함께 지속가능한 항공운항 기반을 선제적으로 마련해 ESG 경영을 실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대한항공은 이미 2017년 국내 항공사 최초로 시카고–인천 노선에 SAF를 적용한 데 이어, 2024년부터 인천·김포국제공항 일부 노선에도 국산 SAF를 혼합 적용하며 국내 SAF 산업 기반 확충에도 앞장서고 있다.


오늘의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