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SK그룹이 2028년까지 총 128조원을 국내에 투자하며 정부가 추진하는 ‘AI 3대 강국’ 비전에 적극 동참한다. 특히 용인반도체클러스터에는 고부가가치 AI 메모리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초대형 팹(Fab) 4기를 구축할 계획이며, 최종 투자 규모는 600조 원까지 확대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1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128조원 규모의 기존 투자계획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AI 수요 폭증으로 예상 투자비가 계속 늘고 있다”며 “용인반도체클러스터만 놓고 보면 약 600조 원 규모의 투자가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용인반도체클러스터의 투자비가 당초 계획보다 대폭 증가한 이유는 HBM을 중심으로 한 AI 메모리 수요가 급증하면서 공정이 고도화되고 설비 규모가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SK그룹은 용인에 총 4기의 팹을 구축하는데, 팹 1기 규모만 해도 SK하이닉스 청주 M15X 6기와 맞먹는다.
재계에서는 “동일 규모 건설 기준으로 전체 4기가 완공될 경우 총 투자액이 600조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그룹은 반도체 업황과 시장수요에 따라 팹 건설 속도를 조절하며 단계적으로 투자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SK그룹의 대규모 투자는 고용 창출 효과로도 직결된다. 최 회장은 “SK는 매년 8,000명 이상을 정기적으로 채용해왔으며, 팹 가동 속도에 따라 매년 1만4,000명에서 2만 명의 고용효과가 발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도체 팹은 일부 오픈될 때마다 2,000명 이상 인력이 추가 투입되며, 협력업체와 생태계까지 포함하면 한 기당 1만~2만 명의 직간접 고용이 창출된다는 설명이다.
SK그룹은 국내 첨단 산업 생태계 강화를 위해 반도체 소재·장비·부품(소부장) 기업과 공동 성장 기반 마련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정부와 함께 8,600억 원 규모의 ‘트리니티 팹(Trinity Fab)’을 구축 중이다.
트리니티 팹은 용인클러스터 내에 세워지는 12인치 웨이퍼 기반의 첨단 공정 미니 팹으로, 소부장 기업들이 개발한 장비와 소재를 실증하고 양산성을 검증할 수 있는 개방형 플랫폼이다. 비영리 재단 형태로 운영되며 학계·연구기관·스타트업까지 폭넓게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AI 인프라 확충도 SK그룹이 강조하는 핵심 전략이다.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는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협력해 울산에 100MW급 초대형 AI 데이터센터를 건설하고 있으며, 2027년 상업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울산 데이터센터만으로도 수조원대 투자가 진행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SK는 오픈AI와도 한반도 서남권 지역에 AI 데이터센터를 공동 구축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글로벌 AI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해 한국을 동북아 AI 거점으로 만들겠다는 전략이다. 최 회장은 “AI 데이터센터 구축 경쟁이 전세계적으로 속도전에 돌입했다”며 “국내 AI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필요한 투자와 인프라를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SK그룹의 이번 투자계획은 AI·반도체 중심의 국가 전략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평가된다. AI 모델 고도화, 데이터 폭증, 글로벌 AI 기업들의 연합 구도로 산업 구조가 빠르게 변화하는 가운데, SK는 메모리 초격차 전략과 AI 인프라 투자로 시장 주도권 확보에 나서는 모습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SK의 600조 원 규모 반도체·AI 인프라 투자는 국내 산업 생태계는 물론 글로벌 공급망에도 중대한 영향을 줄 것”이라며 “고용, 산업 구조, 기술 생태계 전반에 장기적 파급력이 크다”고 말했다.
SK그룹은 향후에도 AI·반도체·에너지·바이오 등 핵심 산업을 중심으로 국내 투자를 지속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최 회장은 “교역 환경 불확실성이 완화된 만큼 기업도 성장의 결실을 만들어내야 한다”며 “국내 산업 발전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