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31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메뉴

SK, 엔비디아와 손잡고 ‘제조 AI 클라우드’ 구축..."제조업 디지털 전환 가속화"

제조 AI 클라우드 상용화, 자국 스타트업에 개방해 제조 AI 생태계 육성하는 亞 첫 사례
엔비디아 GPU 5만장 AI 팩토리로 제조 혁신…가상공간 제조공정 복제로 비용↓ 효율↑
SK텔레콤, 엔비디아와 AI 시대 6G 무선통신 ‘AI-RAN’ 기술 개발 및 실증 협력
아시아 최초 ‘옴니버스 기반 제조 AI 클라우드’...“AI로 한국 산업 한계 넘는다”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SK그룹이 엔비디아와 함께 국내 제조업의 디지털 대전환을 본격화한다. SK는 엔비디아의 GPU(그래픽처리장치)와 ‘옴니버스(Omniverse)’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제조 AI 클라우드’를 구축해 국내 제조 생태계의 혁신을 주도한다.

 

31일 경북 경주시에서 열린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CEO 서밋에서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젠슨 황 엔비디아 창립자 겸 CEO가 직접 만나 협력 방안을 논의하며 이번 프로젝트의 시작을 공식화했다. 양사는 ‘제조 AI 스타트업 얼라이언스’를 공동 추진해 반도체, 로봇, 디지털 트윈 등 첨단 제조 전반에서 AI 혁신 생태계를 함께 키워나가기로 했다.

 

이번 제조 AI 클라우드는 엔비디아의 가상 시뮬레이션 플랫폼 ‘옴니버스’를 기반으로 한다. 옴니버스는 현실의 공장을 3차원(3D) 디지털 트윈으로 구현해 생산 공정의 전 과정을 가상환경에서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불량률을 조기에 감지하고 설비 유지보수를 자동화하며, 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것이 강점이다.

 

SK그룹은 옴니버스 기술을 활용한 제조 AI 클라우드를 국내 최초이자 아시아 최초로 구축한다. 특히 SK하이닉스를 중심으로 한 그룹 내 제조 계열사는 물론, 정부·공공기관·스타트업 등 외부 수요처에도 개방해 국내 제조 전반의 AI 전환을 촉진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이 클라우드의 구축·운영·서비스를 담당하며, SK하이닉스는 최신 GPU 인프라를 제공한다. 클라우드에는 엔비디아의 RTX 프로™ 6000 블랙웰 서버 에디션 GPU 2000여 장이 투입된다. 이 GPU는 대규모 생성형 AI나 산업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데이터를 초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어 세계적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SK는 이를 통해 국내 기업들이 해외 데이터센터 의존 없이 자체적으로 AI 시뮬레이션과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데이터 주권과 보안을 확보하면서도, 제조 현장에 최적화된 AI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구상이다.

 

그동안 중소 제조업체와 스타트업은 AI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고성능 장비와 전문 인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번 SK-엔비디아 협력은 이러한 한계를 해소할 ‘게임 체인저’로 평가된다.

 

양측은 IMM인베스트먼트, 한국투자파트너스, SBVA 등 주요 벤처캐피털(VC)과 손잡고 제조 AI 스타트업을 공동 육성하기로 했다. 클라우드 인프라를 무상 또는 저비용으로 개방해 혁신 아이디어를 가진 스타트업이 실제 제조 환경에서 AI 기술을 실험하고 검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SK 관계자는 “AI 클라우드를 단순한 기술 인프라가 아닌 ‘산업 혁신의 공공 플랫폼’으로 운영할 계획”이라며 “중소기업도 글로벌 수준의 제조 AI 역량을 확보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SK그룹은 제조 AI 클라우드를 포함한 대규모 AI 인프라 ‘AI 팩토리’ 구축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엔비디아와 협력해 GPU 5만 장 이상 규모의 AI 팩토리를 국내에 세우는 것으로, 울산의 100메가와트(MW)급 하이퍼스케일 AI 데이터센터가 그 핵심이다.

 

이 AI 팩토리는 제조 AI뿐 아니라 로봇, 디지털 트윈, 거대언어모델(LLM) 학습 및 추론을 아우르는 통합 AI 산업 단지로 조성된다. SK는 울산을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AI 거점으로 육성한다는 목표 아래, 관련 기업과 연구기관 유치에 나서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의 AI 메모리 핵심 파트너로서 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세계 최고 수준의 고대역폭메모리(HBM) 기술력을 바탕으로 HBM3E를 공급 중이며, 내년에는 HBM4의 본격 상용화를 추진한다. 이는 엔비디아 GPU와 결합돼 AI 팩토리의 연산 성능을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날 SK텔레콤은 엔비디아와 ‘AI 네트워크’ 연구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양사는 차세대 6세대(6G) 이동통신 핵심 기술인 ‘AI-RAN(무선접속네트워크)’ 개발에 착수한다.

 

AI-RAN은 스마트폰, 로봇, 자율주행차 등 수많은 기기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무선망에서 초저지연으로 처리·전송하는 기술이다. SK텔레콤은 삼성전자, 연세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과 함께 AI-RAN 실증과 표준화를 추진하며, 한국을 글로벌 AI 통신기술 검증 허브로 육성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내년부터 연구개발(R&D) 및 실증망 구축을 지원한다.

 

SK텔레콤 관계자는 “AI-RAN 기술은 AI와 통신이 융합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시작”이라며 “제조 AI 클라우드와 함께 산업 현장에 초저지연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해 AI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최태원 회장은 “AI는 이제 산업의 보조 도구가 아니라 혁신의 엔진”이라며 “엔비디아와 함께 한국 산업 전반이 규모와 속도, 정밀도의 한계를 넘어서도록 돕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SK그룹은 AI 팩토리를 기반으로 차세대 메모리, 로보틱스, 지능형 에이전트 등 산업용 AI 생태계를 완성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젠슨 황 CEO도 “AI 시대에는 AI 팩토리가 새로운 제조공장”이라며 “SK그룹은 엔비디아의 핵심 메모리 파트너로서 전 세계 AI 발전을 가능케 하는 기반을 함께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은 AI와 반도체 기술이 결합된 최적의 국가이며, 이번 협력을 통해 한국 제조업의 AI 혁신이 세계 표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오늘의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