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대한항공 조원태 회장의 올해 3분기 경영 성적표가 신통치 않다. 대한항공의 올해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뒷걸음질쳤기 때문이다. 미국 비자 이슈, 추석 연휴 이연, 글로벌 항공 공급 확대, 가격 경쟁 심화 등으로 인해 여객 수요가 줄어든 게 대한항공의 실적을 끌어내린 것으로 분석됐다.
대한항공(대표 조원태)은 21일 공시를 통해 3분기 별도 기준 매출 4조85억원, 영업이익 3763억원을 기록했다고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이는 전년 동기대비 매출은 6%, 영업이익은 39% 줄어든 금액이다. 같은기간 순이익도 918억원을 기록하며 감소폭이 67%를 찍었다.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 등이 나란히 감소한 셈이다.
대한항공은 “전세계 항공 공급 증가와 운임 하락 등 경쟁 심화로 매출이 감소했다”며 “연료비는 줄었지만 감가상각비, 정비비, 공항·화객비 등 고정비 상승으로 영업비용이 전반적으로 증가했다”고 실적부진 이유를 설명했다. 실제로 올해 3분기 원·달러 환율은 평균 1388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1358원)보다 높아 비용 부담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부문별로는 여객부문의 경우 매출은 2조4211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1962억원 감소했다. 3분기는 통상 여름휴가철과 방학이 포함돼 여객 수요가 높지만, 미국 입국 규정 강화와 함께 지난해 9월이었던 추석 연휴가 올해 10월로 넘어가면서 예약 및 탑승 수요가 분산된 것이 매출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화물부문 매출은 1조667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531억원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발 관세 리스크와 글로벌 교역 둔화로 항공화물 성장세가 주춤했다. 하지만 대한항공은 주요 노선의 수요 변동에 맞춰 운항 일정을 조정하고 고수익 노선을 확대해 수익성을 방어했다.
대한항공은 4분기 실적 개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10월 장기 추석 연휴와 연말 성수기 효과로 전 노선의 여객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며 “동계 시즌에는 동남아 등 인기 관광지를 중심으로 탄력적인 공급을 운영해 수익성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화물 사업에 대해선 “연말 소비 특수로 수요 증가가 예상되지만, 미·중 무역 갈등이 이어질 경우 변동성이 클 것”이라며 “시장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공급을 조정하고, 전자상거래 및 고부가가치 화물 유치 확대를 통해 이익 제고를 추진할 것”이라고 대한항공측은 설명했다.
대한항공은 향후 글로벌 노선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원가 관리와 노선 운영 효율화를 통해 불확실한 시장 환경에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