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30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메뉴

“AI와 만난 로봇, 상상에서 현실로”…최종현학술원 ‘SF, 로봇, 인간’ 강연

최종현학술원·한국고등교육재단, 29일 ‘SF, 로봇, 인간’ 강연 개최
“피지컬 AI는 아직 10단계중 2단계 해당"
"충분한 데이터가 주어진다면 결국 인간 넘을 것”
“로봇이 갖지 못한 마지막 보물은 인간의 자유의지”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최종현학술원과 한국고등교육재단이 29일 서울 강남구 재단 컨퍼런스홀에서 ‘SF, 로봇, 인간’ 특별 강연을 열었다. 이번 강연은 로봇과 인공지능(AI)의 현재와 미래, 그리고 인간과의 관계를 조망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이날 김주형 미국 일리노이대 어바나-샴페인(UIUC) 교수와 김영재 LG전자 HS연구센터 수석연구위원이 연사로 나와 로봇 기술의 진화와 AI 시대의 인문학적 성찰을 제시했다. 사회는 SF작가이자 공학박사인 곽재식 교수가 맡아 청중과의 활발한 질의응답을 이끌었다. 

 

첫 발표자로 나선 김주형 미국 일리노이대 어바나-샴페인(UIUC) 교수는 디즈니리서치, 카네기멜런대 로보틱스 연구소(DARPA 프로젝트), 삼성전자 등에서의 연구 경험을 토대로 만화와 영화 속 상상을 실제 로봇으로 구현한 사례를 소개했다. 

 

그는 디즈니의 ‘겨울왕국’ 캐릭터 올라프에서 영감을 얻어 다리가 분리돼도 움직일 수 있는 로봇을 개발한 사례, 일본 만화 원피스의 니코 로빈처럼 어디서든 팔을 꺼내 쓸 수 있는 모듈형 로봇 팔 연구 등을 들려주며 “만화 속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도전이 로봇공학자의 사명”이라고 말했다. 또 “로봇이 생활 속에서 더 많이 쓰일수록 데이터가 축적되고, 그 데이터가 AI와 로봇의 지능을 진화시킨다”며 로봇 보급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 교수는 로봇의 자연스러움이 인간다움에서 온다고 설명했다. “숨 쉬듯 미세하게 움직이는 눈동자, 의미 없는 시선 이동 같은 비효율적 동작이 오히려 자연스러움을 만든다”며 인간과 로봇의 차이를 ‘쓸데없는 움직임’이라는 키워드로 정리했다. 그는 아서 C. 클라크의 법칙을 인용해 “충분히 발달한 기술은 마법과 구별할 수 없다”며 불가능해 보이는 도전에 나서는 것이 과학자의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두 번째 연사로 나선 김영재 수석연구위원은 인간 지능을 ‘탄소 지능’, 인공지능을 ‘실리콘 지능’으로 구분하며, 두 지능은 서로 다른 강점을 지니지만 상호 보완적 관계라고 설명했다. 그는 “로봇이 인간처럼 움직이는 피지컬 AI는 아직 10단계 중 2단계 수준에 불과하다”며, 데이터와 연구가 충분히 축적되면 인간을 뛰어넘는 지능도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김 연구위원은 로봇 대중화의 분기점을 “가장 하기 싫은 집안일의 자동화”에서 찾았다. 설거지·빨래·청소 같은 반복적 가사노동을 합리적 가격에 대체하는 로봇이 등장해야 시장이 본격적으로 열린다는 것이다. 청소로봇이 보편화된 것처럼 세탁·건조·정리, 식기 세척·보관까지 자동화하는 ‘마지막 1미터’의 혁신이 관건이라고 분석했다.

 

강연의 말미에서 그는 “AI 판사는 감정에 휘둘리지 않지만 인간 판사는 시대적 맥락 속에 존재한다”며, 기술 발전이 오히려 인간의 본질을 다시 묻게 만든다고 강조했다. 또 로봇 발레리나 사례를 들어 “동작은 완벽하지만 무대의 땀과 호흡이 전하는 감동은 부족하다”며 로봇이 넘을 수 없는 감성의 벽을 지적했다.

 

이번 강연은 로봇과 AI가 인간의 삶에 더 깊이 스며드는 미래를 전망함과 동시에, 인간만의 고유한 가치와 역할에 대한 성찰을 촉발했다. 참석자들은 로봇기술의 진보가 단순한 편리함을 넘어 인간을 이해하고 사회를 변화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점에 공감했다. 이번 행사는 과학기술과 인문학의 융합적 시선으로 로봇 시대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뜻깊은 자리로 평가됐다.


오늘의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