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3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메뉴

노동부장관, 20대 건설사 CEO 소집…“추락사고 예방, 기업 생존 달렸다”

김영훈 장관 건설현장 잇단 사망사고에 CEO 긴급 소집
노동안전 종합대책 강조…“처벌 아닌 예방, 현장 목소리 듣겠다”
현대·한화·롯데건설 추락사고 예방 우수사례 공유
“안전이 기업 브랜드 되는 시대…기본 수칙부터 지켜야”

[서울타임즈뉴스 = 허성미 기자]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건설현장 추락사고 예방을 위해 20대 주요 건설사 최고경영자(CEO)들과 다시 만났다. 지난달 14일 첫 간담회에 이어 불과 한 달 만의 재소집이다.

 

김 장관은 23일 서울 중구 로얄호텔에서 열린 ‘건설업 추락사고 예방 CEO 간담회’에서 “기본적인 안전수칙만 제대로 지켜도 추락사고는 상당 부분 줄일 수 있다”며 “대표이사들이 직접 현장을 챙기고, 시공현장에서 안전문화가 정착되도록 힘써달라”고 당부했다.

 

이번 간담회는 최근 DL건설, GS건설 현장에서 연이어 발생한 추락사고로 근로자가 숨지는 사고가 잇따른 데 따른 조치다. 노동부에 따르면 건설업 사망사고 중 57.6%가 추락사고로, 여전히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연도별 떨어짐 사망자 수는 2022년 268명, 2023년 251명, 2024년 227명으로 집계됐지만 여전히 중대재해 가운데 가장 빈번한 유형이다.

 

노동부는 이날 간담회에서 지난 15일 발표한 ‘노동안전 종합대책’을 다시 한번 설명했다. 해당 대책은 연간 3명 이상의 사망사고가 발생한 기업에 영업이익의 최대 5% 과징금을 부과하고, 최소 30억 원 이상을 징수하도록 규정했다.

 

반복적 사망사고를 일으킨 건설사에는 영업정지, 등록 말소까지 가능하도록 제재를 강화했다. 김 장관은 “대책의 최종 목적은 처벌이 아니라 예방”이라며 “과도한 불안보다는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사고를 줄일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현대건설·한화·롯데건설의 추락사고 예방활동 사례도 공유됐다. 현대건설은 곤돌라·달비계 사용을 최소화하고 작업발판(SWC) 설치를 의무화했다. 한화 건설부문은 아파트 천장에 안전대 고리 걸이를 매립해 난간 설치 시 근로자가 건축물에 안전대를 걸고 작업하도록 개선했다.

 

롯데건설은 위험 구간을 ‘적색’, 안전 구간을 ‘청색’으로 구분해 외국인 근로자도 직관적으로 위험도를 인지할 수 있는 색채 기반 안전체계를 도입했다.

 

김 장관은 “안전은 이제 비용이 아니라 기업의 브랜드가 될 수 있다”며 “정부 역시 기업의 문을 닫게 만들기 위한 것이 아니라, 안전한 일터를 만들어 산업재해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지속가능한 건설산업으로 나아가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도 수시로 현장과 소통하며 제도 이행 과정에서 기업의 어려움을 최소화하겠다”고 덧붙였다.


오늘의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