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베이비부머의 은퇴가 잇따르고 있다. 심지어 일각에선 ‘베이비부머=은퇴세대’라는 말까지 유행하고 있다. 베이비부머의 은퇴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보유한 부동산을 기반으로 길어진 수명에 대응할 수 있는 노후자산이 사회적 관심사로 새롭게 급부상하고 있다.
연도별 기대수명은 꾸준히 증가해 2063년 기대수명은 90.5세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정년(60세)이나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의 퇴직연령(49.4.세)은 큰 변화가 없다. 기대수명 증가는 전세대에 걸친 이슈중의 이슈다.
우리나라 60대 이상 가구가 보유한 자산중 79%는 부동산에 묶여 있다. 따라서 60대 이상의 노년층은 노후 생활비를 위해 현금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산이 턱없이 부족하다. 대부분 자산이 부동산에 묶여 있기 때문이다. 은퇴이후 매월 월급 개념의 현금흐름이 중요한 베이비부머에게는 유동성을 확보가 사실상 어려운 숙제다. 은퇴 후에도 독립적인 거주를 희망하고 있어 주택을 팔아 생활비를 마련하는 것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 은퇴를 앞둔 베이비부머의 실질적인 노후 준비는 미흡한 상황=하나금융연구소는 2024년 은퇴를 앞둔 베이비부머(금융자산 1억원~10억원을 보유한 50~64세)를 대상으로 노후 자산관리 관련 행태를 조사했다.
베이비부머는 은퇴 후 재정상태에 대해 불안하다(58.5%)는 응답 비중이 가장 높고, 은퇴 이후 중대 질환(54.2%), 생활비 부족(47.4%) 등을 가장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스로 재무적인 노후준비가 되어 있지 않아 불안하다(39.4%)는 응답도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전반적으로 생활비, 자녀지원, 가계부채 등의 이유로 은퇴 준비의 여력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은퇴를 앞둔 베이비부머 71.1%가 은퇴 후 현금흐름 설계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이들 중 고가의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으나 금융자산 규모가 크지 않은 시니어 계층에서 89.5%라고 고민을 답했다.
이같은 특성을 가진 베이비부머가 은퇴 후 현금흐름에 대한 고민이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주택담보대출 등을 포함한 대출을 보유하고 있어 불안감이 클 수 밖에 없다.
■ 유권 유지하면서 현금흐름 확보...12억원 초과 주택 보유자 내집연금 가입 확산=부동산 중심으로 자산을 보유한 베이비부머는 향후 은퇴를 하더라도 현 주거 상황을 유지하고 싶은 경향(46.2%)이 매우 강하다.
보유 주택을 활용한 연금상품 가입할 의향을 보면 17억원 이상 고가 부동산 보유자는 43.6%, 17억 미만 부동산 보유자는 58.5%라고 응답했다. 부동산 소유권을 유지하면서 현금흐름을 확보하는 상품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방증이다.
전반적으로 베이비부머는 자산의 가격 변동성이나 다른 보유자산과 상관없이 추가적인 현금흐름 확보가 어려운 특정 연령 이후 주택연금에 가입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2억원 초과 주택 보유자의 내집연금 상품 가입이 확산되는 추세다. 실제로 고가 주택을 보유한 자산가 중에는 보유 주택 1채 이외에 노후생활자금이 부족한 사례가 상당히 존재한다. 이들의 평균 연령은 65세~80세다. 이들은 근로소득이 거의 없고 연금수령 또는 약간의 임대소득을 기반으로 생활하는 특성을 보였다.
물론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주택연금 상품과 금융회사에서 판매하는 민간역모기지론이 있다.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주택연금은 기존에 보유한 주택에서 그대로 거주하면서 부동산 자산을 현금화하여 은퇴 생활자금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공시가격 12억원 이하 주택만 해당된다. 민간 역모기지 상품은 장기 주택저당 대출상품으로 비소구 종신 연금 지급을 제공하지 않는 한계도 있다.
최근 일부 지역에서 주택가격이 상승하면서 공시가격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사례가 발생하기도 하고, 민간 역모기지론의 경우 주택담보대출 관련 규제(LTV, DTI, DSR 등)가 모두 적용되기 때문에 가입자의 소득에 따라 실행 가능한 대출액이 매우 작은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나금융그룹은 지난 5월 26일 공시가격 12억 초과 주택을 담보로 역모기지론을 지급하는 연금상품을 출시했다. 하나은행과 하나생명은 금융위원회에 '혁신금융서비스'로 <하나더넥스트 내집연금>상품을 신청해서 금융권 최초로 유일하게 판매하고 있다.
연령이 높고 소득이 많지 않아 노후생활자금이 부족한 시니어 세대를 대상으로 평생 거주를 보장하며 매월 연금을 수령하는 개념의 이 상품은 실제 현장에서 출시 이후 많은 문의를 받고 있다고 한다.
본인이 거주하는 주택을 담보로 평생 연금을 지급받으면서 거주를 보장받게 되고, 혹여 본인이 사망하더라도 배우자가 동일 연금액을 지급받는 종신형 상품이다. 배우자마저 사망하게 되면 미리 정해진 처분절차를 통해 부동산을 처분하고 잔여재산은 자녀 등 귀속권리자에게 제공하는 개념이다. 혹시 주택가격이 하락하더라도 부족액을 상속인에게 요구하지 않는 비소구 방식이어서 매력이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