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5 (금)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메뉴

"美 관세 직격탄 맞은 정의선"...현대차 2분기 영업익 3.6조 5년만에 두자릿수 감소

2분기 매출 48조2,867억원, 영업익 3조6,016억원, 당기순이익 3조2,504억원
전년대비 매출 7.3% 증가, 영업이익 15.8% 감소, 영업이익률 7.5% 기록
글로벌 판매 0.8% 증가…미국, 유럽 등 주요 시장 판매 증가 영향
통상 정책 방향성에 따른 경영환경 불확실성 가중 가능성 존재
유연한 판매·생산 전략 최적화...시나리오별 리스크 최소화 및 수익성 방어 집중
분기 배당은 보통주 기준 주당 2,500원 결정 … 전년 분기 배당 대비 25% 확대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현대자동차 정의선호(號)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5년만에 두자릿수 감소하는 등 신통치 않은 성적표를 받았다. 특히 2분기 매출은 크게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두자릿수 줄어드는 등 희비가 뚜렷했다. 올해 4월부터 적용된 미국의 자동차 관세 25%가 2분기 수익성 부문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게 업계의 공통된 분석이다.

 

현대차는 24일 공시를 통해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3조6016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대비 15.8% 감소한 수치다. 같은 기간 매출은 48조2867억 원으로, 7.3% 증가했다. 분기 기준 역대 최고 매출을 기록한 셈이다. 이 기간 당기순이익은 3조2504억 원으로 집계됐다.

 

현대차의 2분기 매출은 역대 최대 수준의 하이브리드 판매 및 금융 부문 실적 개선 등을 바탕으로 전년 동기대비 7.3%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인센티브 증가 및 투자 확대 추세 속에도 우호적인 환율 효과 등으로 인해 7.5%를 기록했다. 현대차의 영업이익이 두자릿수 감소폭을 보인 것은 2020년 3분기 이후 처음이다. 업계는 지난 4월부터 시행된 미국의 25% 관세 부과가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있다. 미국은 현대차의 최대 수출 시장중 하나다.

 

현대차 관계자는 “국내, 미국, 유럽 등 주요 시장 판매량 증대로 외형적 성장이 가능했지만, 미국 관세 영향이 본격화되고, 경쟁 심화에 따른 글로벌 인센티브 및 판매 비용 증가 등의 원인으로 손익이 둔화됐다”고 말했다. 자동차 판매량을 살펴보면, 현대차는 이기간 글로벌 시장에서 106만 5,836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 0.8% 증가한 수치다. 국내 시장에서는 팰리세이드 및 아이오닉 9 신차효과로 SUV 판매가 성장하며 1.5% 증가한 18만 8,540대를 기록했다. 

 

해외에서는 미국 판매가 전년 동기대비 3.3% 증가한 26만 2,305대를 기록했다. 대외 환경 악화로 신흥 시장 판매가 감소했지만 해외 판매는 전년 동기보다 0.7% 증가한 87만 7,296대가 팔렸다. 이 기간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대수(상용 포함)는 유럽 지역 중심 EV 판매 비중 확대, 하이브리드 라인업 강화에 따른 판매 견인 효과로 전년 동기 대비 36.4% 증가한 26만 2,126대가 판매됐다. 이중 EV는 7만 8,802대, 하이브리드는 16만 8,703대로 집계됐다.

 

현대차는 지난해 발표한 밸류업 프로그램에 의거해 2025년 2분기 주당 배당금을 전년 동기(2,000원)보다 25% 오른 2,500원으로 발표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현대차는 거시적인 경영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주주가치 극대화를 위해 기존에 약속한 주주환원 정책의 충실한 이행을 위해 지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오늘의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