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한화생명이 ‘세계 당뇨병의 날’(11월 14일)을 맞아 최근 5년간 보험금 지급 데이터 36만건을 분석한 결과, 당뇨병이 과거 노년층에서 주로 발병하던 질환에서 벗어나 3040세대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발병 이후의 의료비 부담도 고혈압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한화생명 데이터에 따르면 2021년만 해도 당뇨 관련 실손보험 청구자의 67.4%가 5060세대였다. 반면 3040세대는 27.3%에 불과했다. 그러나 2025년 들어 5060세대 비중은 55.5%로 감소, 3040세대는 35.4%로 증가하며 당뇨 발병 연령이 뚜렷하게 젊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성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5년 전 남성의 3040세대 당뇨 비중은 30.6%였지만 올해는 41.4%까지 급증했다. 여성은 같은 기간 23.3%→27.4%로 소폭 증가하는 수준에 그쳤다. 한화생명은 “젊은 남성층의 당뇨 위험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어 조기 건강 관리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화생명은 대표적 만성질환인 고혈압과 당뇨의 보험금 지급 데이터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당뇨 환자는 고혈압 환자보다 암·뇌심혈관질환 등 중증 합병증 위험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40대 당뇨 환자의 중증질환 청구 비율은 7.4%, 50대는 10.6%로, 같은 연령대 고혈압 환자(각각 6.3%, 9.1%)보다 모두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청구 건수 기준으로는 여전히 고령층 비중이 높지만, 당뇨 환자는 40~50대부터 합병증 기반의 보험금 청구가 빠르게 증가해 당뇨가 진단 초기부터 전신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임을 시사한다.
당뇨 발병 이후 2년 내 지급된 실손보험금을 분석한 결과, 1인당 평균 의료비는 333만 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조건의 고혈압 환자 평균 의료비 242만 원 대비 약 1.4배에 달하는 수치다. 해당 의료비는 단순 질환 관리비가 아니라 발병 이후 새롭게 발생한 동반 질환 및 치료비까지 포함한 실질 비용으로, 당뇨병이 장기 관리가 필요한 만성질환임을 보여준다.

전경원 한화생명 데이터통합팀장은 “당뇨병은 발병보다 관리 과정에서 더 큰 비용과 노력이 필요한 질환임이 데이터로 확인됐다”며 “3040세대에서의 발병 증가는 관리 기간이 길고 합병증 위험도 높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생활습관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세계 당뇨병의 날을 계기로 젊은 세대가 당뇨를 노년층 질환이 아닌 현재의 건강 리스크로 인식하길 바란다”며 “한화생명은 보험금 지급 데이터를 기반으로 건강 인사이트 발굴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