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최근 대내외적 경기 불안으로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하나은행의 하나골드신탁 상품이 빠르게 인기몰이하고 있다. 시중은행에서 금 처분이나 운용 업무를 실시하기는 하나은행이 유일하다.
하나은행의 하나골드신탁 상품은 하나골드신탁(처분)과 하나골드신탁(운용) 등으로 나뉜다. 이중 하나골드신탁(처분)은 은행을 통해 금을 처분하는 상품이다. 국제시세 및 원달러 환율 등을 기반으로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이 산정한 합리적 수준의 금시세 적용을 받을 수 있다.
하나골드신탁은 가까운 하나은행 영업점을 통해 쉽고 편리하게 거래가 가능한 게 특징이다. 지난 8월 하나은행 2개 지점에서 첫 선을 보인 하나골드신탁 상품은 손님들의 성원에 힘입어 현재 취급 영업점을 167곳으로 대폭 늘렸다. 또 가입 가능한 금의 최소 중량 <하나골드신탁(처분) 3.75g, 하나골드신탁(운용) 30g>을 줄이고 접수 품목도 24K골드바, 쥬얼리뿐 아니라 다른 고금까지 취급을 확대하고 있다.
하나골드신탁(운용) 상품도 한창 인기몰이중이다. 하나골드신탁(운용) 상품은 손님이 보유한 금을 하나은행에 맡기면 만기에 신규시 감정가의 1.5% 가량에 해당하는 운용수익을 금 실물과 함께 돌려받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운용수익은 고객에게 금전으로 지급되는 게 이 상품의 특징이다.
하나골드신탁(운용) 상품은 4회차(한도 40억원) 판매가 이뤄졌다. 이 상품은 반나절만에 완판되면서 높은 인기를 입증한 바 있다. 올해 5~9회차까지 추가 판매를 예정하고 있다. 하나골드신탁(운용) 상품은 '무수익 자산'이 '운용 가능 자산'으로 활용된다는 점에서 호응을 얻고 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금융권 최초로 도입한 ‘금 실물 신탁’ 상품을 통해 손님 경험 차별화는 물론 금 실물의 선순환 구조를 유도함으로써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손님들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고, 소비자 선택권을 넓힐 수 있는 혁신적인 상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하나은행은 손님상담 지원 전용 콜센터와 ‘하나원큐’ 모바일 앱 내 하나골드신탁 안내용 랜딩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또 신규 서류 작성의 스마트 창구 도입 등을 통해 가입과 판매 편의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사진=연합뉴스]](http://www.seoultimes.news/data/photos/20251043/art_17611985899162_e4f37c.jpg?iqs=0.43786346027030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