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여가 시간에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어깨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도 증가하는 추세라고 한다. 어깨통증의 발생 원인은 매우 다양한 편인데, 그중에서 흔한 어깨 질환으로 어깨회전근개파열이 꼽힌다.
어깨회전근개는 어깨 관절 주위의 근육 4개(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를 지칭한다. 이 근육들은 어깨 관절의 움직임 및 안정성 유지에 큰 기여를 하는데, 여러 요인들로 인해 어깨회전근개에 손상이나 파열이 발생할 수 있다. 어깨회전근개의 파열은 극상근의 파열률이 가장 높은 편이며, 어깨 뒤쪽으로 U자 형태를 그리며 파열이 진행되는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어깨를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팔을 크게 휘두르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 잘못된 자세로 어깨 운동을 하는 것 등이 어깨회전근개를 파열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퇴행성 변화로 인해 어깨 관절의 조직들이 약화되면 작은 충격만 받아도 조직에 파열이 생길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이외에도 선천적, 후천적 및 퇴행성 변화 등으로 견봉이 튀어나온 상태라면 어깨회전근개에 파열이 발생할 확률은 더욱 높아지게 된다.
어깨회전근개파열은 MRI 촬영과 같은 정밀검사를 통해 조직의 어느 부위에 어느 정도의 파열이 생겼는지 확인할 수 있다. 조직의 파열이 경미한 편에 속하는 환자는 물리치료 및 보조기 착용, 주사 요법 등과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호전을 기대한다. 그렇지만 파열 범위가 넓거나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극심한 어깨통증이 있는 환자는 파열 부위를 봉합하는 수술적 치료가 고려된다.
어깨회전근개파열수술 시에는 파열 부위를 봉합하고, 튀어나온 견봉을 깎아주는 견봉성형술의 과정을 거치게 되며, 수술 후에는 체계적인 재활이 필수적이다. 재활을 통해 어깨 관절의 경직을 방지하고, 손실된 근력을 회복하는 것이 중요한데, 재활을 소홀히 하면 조직에 재파열이 생기거나 어깨에 만성 통증이 나타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잠실 선수촌병원 박근민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