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상 속 외출이나 운동 중, 누구나 한 번쯤 발을 삐끗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계단을 내려가다 헛디디거나, 움푹 파인 길에 발이 걸려 넘어지는 일은 흔히 생긴다. 가벼운 발목 염좌 증상만 나타났다면 다행이지만 발목이 과도하게 꺾어지고 발목에 통증 및 붓기가 심한 편이라면 단순한 염좌를 넘어 발목 인대에 파열이 발생했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발목 염좌는 조직의 손상 정도에 따라 1도, 2도, 3도의 3단계로 나눌 수 있다. 1도 발목 염좌는 인대 조직이 늘어났지만 정상적인 보행은 가능한 상태로 충분한 안정, 냉찜질 등을 통해 회복된다. 2도 발목 염좌는 발목 인대에 부분적인 파열이 발생한 것으로 발목이 부어오르고 멍이 드는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심한 통증으로 정상적인 보행이 어려울 수 있다. 마지막 3도 발목 염좌는 발목 인대 조직이 완전히 파열된 상태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2도, 3도의 발목 인대파열 환자는 심한 통증과 부종 등으로 심각한 상태라는 것을 인지하고 병원을 찾게 된다. 그렇지만 발목 염좌 1도 환자는 통증이 가벼운 편이라 부상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그냥 방치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가벼운 발목 염좌라 하여 이를 장기간 방치하거나 충분한 회복 기간을 거치지 않는다면 인대가 비정상적으로 변형되어 만성 발목 염좌로 이어지게 되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발목 인대의 파열이 경미한 편에 속하는 환자는 깁스 또는 보조기 착용, 주사치료, 물리치료 등의 비수술적 치료를 진행하여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만약 발목 인대의 파열 범위가 넓거나 인대가 완전히 끊어진 상태라면 수술적 치료가 고려된다. 수술은 인대 봉합술 및 재건술이 있으며, 수술 후에는 발목 관절의 경직을 예방하고 근력을 강화하는 재활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쳐 향후 재파열을 예방해야 한다. 파열된 발목 인대를 오래 방치하면 발목 관절에 과부하를 초래하여 발목 연골까지 손상될 수 있으므로 초기에 적절한 대처가 권장된다.
<잠실 선수촌병원 배상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