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서울 아파트 공급이 급감하면서 내 집 마련을 꿈꾸는 실수요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유례없는 공급 절벽에 맞닥뜨린 주택시장, 실수요자들을 위한 현실적 대안은 어디에 있을까?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올해(3월 조회 기준) 서울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은 총 3만7681가구로 집계됐다. 그러나 2026년에는 9640가구, 2027년에는 9573가구로 급감할 전망이다. 이는 올해 입주 물량의 약 4분의 1(-74%) 수준이다. 향후 몇 년간 서울에서 새 아파트를 찾기가 더욱 어려워질 것임을 시사한다.
서울에서의 주택 공급이 어려운 이유는 재건축·재개발, 민간 자체 주택사업 등 모든 공급 방식이 난항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도시정비 사업장에선 공사비 급등으로 인한 조합과 시공사간 갈등이 사업 진행을 지체시키고 있다.
부동산 PF 부실 문제와 경기 불확실성으로 건설사들의 신규 사업 추진도 위축된 상태다. 정부가 공급 확대 카드로 꺼낸 1~3기 신도시 개발 역시 서울이 아닌 경기·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돼 서울시내 공급 문제 해소에는 한계가 있다.
신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품귀현상이 예고된 가운데, 서울 집값 부담은 계속 올라 실수요자들, 특히 젊은층과 신혼부부 등 무주택자들의 주거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이들에게 서울 내에서 적정 가격대의 새 아파트를 찾기란 점점 더 어려운 과제가 되고 있는 것이다.
한국부동산원 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지난해 3월(10억5134만원)부터 올해 1월(11억2747만원)까지 11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공급 부족 이슈에 더해 금리 인하, 토허제 해제 등이 불쏘시개 역할을 하며 올해 하반기까지 상승장이 지속될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놨다.
이에 서울과 가까우면서도 비교적 가격 부담이 적은 경기권 아파트가 실수요자들에게 좋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전국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올해 2월 기준 경기도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5억2793만원으로, 서울(11억3345만원)의 반값 수준이다.
이같은 흐름은 실제 거래 통계에서도 확인된다. 한국부동산원 매입자 거주지별 아파트 매매 거래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거주자가 매입한 경기도 아파트는 총 1만7093채로, 직전년도(2023년 1만3429채) 대비 27% 증가했다. 서울 주민들이 경기도 아파트로 눈을 돌리고 있음을 분명히 보여주는 수치다.
부동산인포 권일 리서치 팀장은 “최근 경기지역에는 다양한 교통개발사업이 진행되면서 서울과 경기의 생활권 경계가 점차 흐려지고 있다”며 “서울 내 공급 부족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내 집 마련을 고려하는 실수요자들은 경기권 신규 분양 단지를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