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이런 가운데 기업회생절차에 돌입한 홈플러스가 신용등급 강등 직전까지 채권을 발행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민 홈플러스 채권 사기발행과 배임, 탈세 의혹 등에 대해 회사뿐 아니라 대주주인 MBK파트너스(이하 MBK)까지 수사를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을 나왔다.
17일 디지털데일리 보도에 따르면 리얼미터가 13~14일 이틀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설문대상 가운데 68.7%에 해당하는 688명이 홈플러스의 채권 사기발행과 탈세와 배임 의혹에 대해 회사를 넘어 대주주인 MBK까지 조사를 확대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 동의하지 않는다는 233명(19.1%), 잘 모르겠다는 15명(12.2%)으로 집계됐다.
홈플러스는 지난달 28일 신용등급이 'A3'에서 'A3-'로 강등됐다. 이후 3·1절 연휴기간을 마친 직후인 이달 4일 채권을 포함한 금융채무에 대한 원리금 상환을 일시 중단하는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 신용등급 강등에 따른 이자비용 상승으로 단기 유동성 부담이 커지자, 곧바로 법정관리를 신청해 원리금 지급을 하지 않을 수 있게 만든 것이다.
홈플러스의 신용등급이 강등되기 사흘 전까지 회사의 카드대금을 기초로 한 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ABSTB)가 발행됐다. 신용평가사가 사전에 신용등급 조정 결과를 회사 측에 알렸다는 점에서도 비판을 받고 있다.
홈플러스 스스로 논란을 부추긴 측면도 있다는 지적도 있다. 홈플러스는 28일 당일에 신용등급이 강등된 사실을 알게 됐다고 알렸다. 하지만 논란은 사그라지지 않자 홈플러스측은 ABSTB가 발행된 25일에 미리 신평사로부터 신용등급이 강등된다는 점을 통보받았다고 인정했다. ABSTB 발행에 대해서는 발행주체가 홈플러스가 아닌 증권사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국민의 70% 가까이는 홈플러스 해명을 믿지 못하고 있다. 특히 2015년 인수 이후 홈플러스를 11년째 경영하고 있는 대주주 MBK가 책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 MBK까지 전방위적인 조사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고 있다. 설문대상의 691명(69%)은 MBK가 홈플러스 인수 때 사용한 차입매수 방식에 대해 규제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MBK는 과거 홈플러스를 인수할 때 총 7조4000억여원을 투입했는데, 이중 절반 이상인 4조3000억원이 차입금으로 알려졌다.
MBK는 지난해 9월부터 시도하고 있는 고려아연에 대한 M&A에서도 차입매수 방식을 취하고 있다. 지금까지 고려아연 지분 매입에 투입한 1조5600억여원중 75%인 1조1775억원이 증권사로부터 빌린 대출금이다. MBK가 고려아연을 인수할 경우 고려아연에 상당한 상환 부담을 안길 여지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