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타임즈뉴스 = 서연옥 기자] CJ제일제당이 지난해 매출은 0.1% 줄어든 17조8,710억원), 영업이익은 26% 늘어난 1조323억원을 올렸다고 10일 밝혔다. 또 4분기 매출은 4조4,750억원, 영업이익은 전년비 39.2% 늘어난 2,199억원을 달성했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불피요한 비용을 줄이는 내실경영을 펼친 결과가 영업이익 두자릿수 상승으로 나타난 셈이다.
CJ제일제당은 이날 대한통운을 포함한 연결기준 실적도 함께 공시했다. 대한통운을 포함할 경우 매출은 1.2% 증가한 29조3,591억원을, 영업이익은 20.2% 증가한 1조5,530억원(+20.2%)을 나타냈다. 식품사업부문은 11조3,530억원(0.8% 증가)의 매출과 6,201억원(5.3% 감소)의 영업이익을 냈다. 내수 소비 침체와 원가 부담을 겪고 있는 국내 식품사업 매출은 5조7,716억원으로 1.8% 감소했다.
하지만, 햇반 등 주요 가공식품의 견조한 성장과 온라인 채널 매출 확대가 사업의 부진을 일부 상쇄했다. 또 ‘고메 소바바 치킨’, ‘통새우만두’에 이은 ‘통오징어만두’ 등 차별화된 신제품으로 성숙기에 접어든 국내 시장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했다는 평가다.
해외 식품사업은 매출 5조5,814억원(+3.6%)을 기록했다. 전체 식품 매출의 절반에 가까운 49.2%를 점유했다. 이는 역대 최대 수준으로, 지난해 주력한 ‘K-푸드 신영토 확장’이 성과를 거뒀다는 이라는 게 CJ제일제당측 설명이다. 실제로 CJ제일제당은 지난해 북미, 유럽, 호주 등 주요 권역에서 성장을 이어갔다. 이에 힘입어 글로벌 전략 제품인 김치는 해외 매출이 38% 늘었고, 냉동밥(+22%), 만두(+18%) 등도 두자릿수 증가했다.
북미는 4조7,138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북미 시장 점유율 1위인 비비고 만두는 2위 브랜드와 3배 이상 차이 나는 선두를 유지했다. 슈완스의 대표 피자 브랜드 ‘레드바론’도 1등 자리를 굳건히 지켰다. 특히 지난해 주목할 만한 대목은 유럽지역 연간 매출이 처음으로 1,000억원을 돌파했다는 점이다. 프랑스, 스페인 등 신규 국가로의 진출을 가속화하는 한편, 유럽 대형 유통채널에서 판매 제품을 확대한 점이 주효했다. 이중 호주의 경우 울워스에 이어 콜스, IGA에 입점하는 성과를 이루며 현지 주요 유통업체 매장의 80%에서 비비고 제품을 판매했다.
바이오사업부문은 매출 4조2,095억원(+1.8%), 3,376억원(+34.3%)의 영업이익을 냈다. 트립토판 등 고수익 제품의 판매 확대와 스페셜티 품목 매출 증가가 수익성 개선을 이끌었다. 특히, 알지닌, 발린, 이소류신, 히스티딘 등 고부가가치 스페셜티 제품의 매출 비중이 역대 최고 수준인 21%를 기록했다. 사료∙축산 독립법인 CJ Feed&Care는 2조3,085억원의 매출과 747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CJ제일제당은 향후 ‘소바바치킨’에 이어 ‘통새우만두’ 등 국내 ‘메가 히트 상품’의 해외 진출을 확대할 계획이다. 오는 2027년 가동을 목표하는 미국 중서부 사우스다코타 주 수폴스에 위치한 '북미 아시안 푸드 신공장’과 내년 가동할 헝가리 공장을 통해 ‘K-푸드 영토 확장’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바이오사업부문은 트립토판과 스페셜티 판매를 지속 확대한다. 특히, 수년간 중국 업체의 저가 공세에 떨어졌던 라이신 가격이 EU 반덤핑 관세 부과로 글로벌 시장에서 급반등하는 추세인 만큼 시황 변화에 빠르게 대응한다는 게 CJ제일제당의 올해 목표다. 이런 가운데 유무형자산 평가에 따른 영업 외 손실이 발생하며 당기순이익이 35.3% 감소했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온리원 정신을 바탕으로 글로벌 사업 확장을 더욱 가속화하고,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혁신성장 동력을 빠르게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