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타임즈뉴스 = 박현규 기자] 최근 국내 주요 코인 거래소에서 도지코인의 하루 거래량이 국내 IPO 전체 일일 거래량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크립토 자산의 유동성과 기존 IPO 시장의 한계를 보여주는 사례로, 전통 금융의 패러다임 변화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라는 평가다.
비트코인의 등장 이후 ICO(Initial Coin Offering), 디파이(DeFi), NFT, 그리고 STO(Security Token Offering)까지 크립토 자산은 변화를 거듭해 왔는데, 이제 이 흐름은 실물 연계 자산(Real World Asset, RWA)으로 이어지고 있다. RWA는 실물 자산의 가치를 블록체인 기술로 토큰화해 유동성과 신뢰를 동시에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존 크립토 자산과 차별화된다.
특히, 세계 최대 자산 운용사 블랙록(BlackRock)과 여러 미국 해지펀드들이 이미 RWA 펀드를 준비하며 미래 금융 시장에서의 선점 효과를 노리고 있다. 이는 크립토의 글로벌 파괴력과 제도권 금융의 신뢰가 결합한 혁신적인 모델이 조만간 큰 반향을 일으킬 것임을 예고한다.
PUNKVISM의 황현기 대표는 "RWA는 크립토의 유동성과 제도권 금융의 안정성을 결합한 금융 혁신의 결정체"라며 "펑키콩즈와 같은 NFT는 RWA와 결합할 강력한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으며, 실물 자산과 디지털 자산이 융합된 새로운 투자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PUNKVISM은 NFT를 넘어 RWA 코인 생태계를 확장하며, 실물 자산과 디지털 자산을 연결해 투자자들에게 신뢰와 유동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모델을 준비하고 있다.
황현기 대표는 "펑키콩즈 홀더들에게 RWA 코인을 통해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고, 새로운 수익 구조를 창출하는 것이 목표"라며 “빠르게 변화하는 세계 금융 시장에서 RWA 코인이 금융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패러다임을 제시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