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회장 권오갑)가 10일(금) 올해 그룹 사장단 인사를 단행했다. 정기선 HD현대 부회장 이날 인사에서는 HD현대 정기선 사장이 부회장으로 승진했으며, HD현대인프라코어 오승현 대표이사 부사장과, HD현대중공업 강영 부사장이 각각 사장으로 승진했다. 강영 사장은 현재 기업결합이 진행 중인 STX중공업의 인수 추진 TF를 맡을 예정이다. 또, HD한국조선해양 김성준 부사장, HD현대로보틱스 김완수 부사장, HD현대케미칼 고영규 부사장이 각각 새 대표이사로 내정됐다. HD현대중공업 노진율 사장은 공동대표이사로 내정돼 안전경영 및 동반성장을 담당한다. 이들 내정자들은 향후 이사회 및 주총을 거쳐 대표이사에 선임될 예정이다. 정기선 부회장은 세계 조선경기 불황으로 전사적 어려움에 처한 상황에서 회사의 체질개선과 위기 극복에 앞장섰으며, 선박영업과 미래기술연구원에 근무하면서 회사 생존을 위한 일감 확보와 기술개발을 통한 미래 준비에도 온 힘을 쏟았다. 2016년에는 선박서비스 시장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해HD현대글로벌서비스 출범에 주도적 역할을 하기도 했다. 이후 정기선 부회장은 조선사업 외에도 정
생성형 인공지능(AI)은 4차 산업 시대에 접어든 우리 삶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가 됐다. 산업 영역뿐 아니라 삶의 질에도 영향력을 미친다. 플렉시스 박대희 대표 ‘스타트업-벤처기업의 요람’ 관악S밸리의 대표적인 기업인 플렉시스(대표 박대희)가 이런 트렌드에 걸맞은 솔루션으로 공공기관과 기업의 주목을 받으면서 총 31억원 규모의 국책과제 2개에 잇달아 선정됐다. 먼저 플렉시스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블록체인 및 AI 기반의 ESG형 연구 데이터 관리/공유 시스템 개발 및 사업화’ 과제 참여기업으로 선정돼 20억원 규모의 연구개발 비용을 지원받는다. 플렉시스는 이에 앞서 산업통상자원부의 ‘자율주행 활성화에 따른 스마트모빌리티 안전 서비스 및 인프라 구축’ 사업에도 선정돼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연구개발비는 11억원이며, 플렉시스는 자동차 자율주행 시 도로 옆에서 갑자기 튀어나올 수 있는 어린아이 및 동물 등의 위험요소를 조기 발견해 사고를 예방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플렉시스의 대표적인 솔루션은 ‘AI 헬퍼(Helper)’다. 사람이 수행하는 반복적이고 정형화된 업무를 정해진
세계 최고의 스트리밍 기술 회사인 브라이트코브(Brightcove)(나스닥: BCOV)가 오늘 고객에게 추가 원격 비디오 제작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기업용으로 설계된 고급 비디오 콘텐츠 제작 플랫폼인 소시어라이브(Socialive)와의 파트너십 확장을 발표했다. 소시어라이브의 기능으로 브라이트코브의 포괄적이고 안정적인 라이브 스트리밍 솔루션을 강화함으로써 고객은 라이브 및 주문형 내부 비디오 콘텐츠의 생성, 관리 및 배포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브라이트코브의 제품 전략 및 마케팅 담당 수석 부사장인 마티 로버츠(Marty Roberts)는 “분산된 글로벌 및 하이브리드 인력으로 인해 기업은 문화를 구축하고 정보를 전달하는 한편 직원을 한데 모으는 매력적인 방법을 찾아야 했다”며 “라이브스트리밍은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이어 “브라이트코브의 라이브스트림 기술을 소시어라이브와 통합하면 고객은 제어실, 여러 발표자, 대화형 요소 등 라이브 스트림의 모든 측면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강력한 제작 도구를 활용해 내부 커뮤니케이션 수준을 높일 수 있다. 추가 도구를 통해 고객은 직원을
KB국민은행(은행장 이재근)은 한국표준협회와 한국서비스경영학회에서 공동 주최하는 ‘2023 DX서비스어워드(Digital EXperience Award)’에서 월드 그랑프리를 수상했다. ‘DX서비스어워드’는 서비스와 경영 전반에 ICT를 접목하고 신속한 디지털 전환으로 우수한 서비스 품질과 성과를 구현해 고객가치를 향상시킨 우수기업에게 주는 상이다. KB국민은행은 비금융과 금융 서비스를 연계해 ‘KB국민인증서 기반 통합인증서비스’와 ‘국민지갑’, ‘KB부동산’ 등으로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KB국민인증서는 가입자 1380만명을 돌파하며 금융권 대표 인증서로 자리매김했다. 공공·민간기관, 마이데이터 사업자, KB금융그룹 계열사 등 450여개 기관에서 KB국민인증서 간편인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제휴처를 확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KB국민은행은 금융권 최초 공인전자문서중계자로서 KB금융그룹 계열사와 국세청, 국민연금공단 등 공공기관의 모바일 안내문을 전자문서로 제공하고 있으며, 발송기관을 지속적으로 확장 중이다. 디지털지갑인 ‘국민
우리은행(은행장 조병규)은 국내 거주 외국인 고객의 편리하고 쉬운 금융거래를 위해 맞춤형 모바일 뱅킹 서비스 ‘우리WON글로벌’을 출시했다고 9일 밝혔다. ‘우리WON글로벌’은 동남아 국가 대부분의 언어를 포함했으며, 은행권 앱을 통틀어 가장 많은 17개 언어(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몽골어, 태국어, 인도네시아어, 러시아어, 캄보디아어, 필리핀어, 우즈베키스탄어, 스리랑카어, 방글라데시아어, 파키스탄어, 네팔어, 미얀마어)를 지원한다. ‘우리글로벌뱅킹’을 재구축해 출시한 ‘우리WON글로벌’은 외국인 고객이 많이 사용하는 해외송금서비스를 더욱 강화해 기존 서비스인 우리글로벌퀵송금, 모바일 머니그램, 캄보디아WING 해외송금 외 △입금 금액이 즉시 자동 송금되는 ‘우리ONE해외송금’과 ‘다이렉트 해외송금’ △수취인명 및 은련카드 번호로 중국으로 송금하는 ‘우리은련퀵송금’을 새롭게 도입했다. 또한, 외국인 특화 비금융 생활편의서비스도 제공한다. 금융권에서 처음으로 비대면 ‘출국 만기보험금 접수대행’ 서비스와 외국인등록증 등기우편 배송현황을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는 ‘외국인등록증 배송조회’ 서비
파이어플라이 스튜디오(FireFly Studio)가 개발한 실시간 전략게임 ‘스트롱홀드(Stronghold)’의 결정판(Definitive Edition)이 한국시간 11월 8일 정식 출시된다. 파이어플라이 스튜디오는 20여년의 세월 동안 사실적인 중세 유럽 세계관에 기반한 전략 시뮬레이션을 개발하고 있는 디볼버디지털 소속 개발사다. 스트롱홀드(Stronghold) 결정판(Definitive Edition) 론칭 트레일러 ‘스트롱홀드: 결정판’ 키아트 스팀 넥스트 페스트의 10가지 주요 타이틀 중 하나인 스트롱홀드는 시리즈를 이어온 거장 로버트 L. 유비노의 악곡이 담긴 새로운 트레일러를 함께 공개했다. “우리는 아직 2D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에 대한 수요가 있다고 믿는다”는 파이어플라이 스튜디오의 마케팅 책임자 닉 타나힐은 “2001년부터 이어져 온 스트롱홀드 시리즈에 대한 팬들의 지지와 피드백 덕분에 결정판이 출시될 수 있었으며, 이 결정판은 예전 2D RTS 게임이 대세이던 시절에 대한 제작진의 헌정이기도 하다”면서 2024년 초까지 계속 업데이트와 추가 콘텐츠를 제공할 것을 알렸다. ‘스트롱홀드: 결정
젠타리 주식회사(Gentari Sdn Bhd, 이하 Gentari)가 완전 소유 자회사인 젠타리 인터내셔널 리뉴어블(Gentari International Renewables Pte Ltd)을 통해 AM 그린(AM Green BV, 이하 AM 그린)과 협약을 체결하고, 그린 암모니아 플랫폼인 AM 그린 암모니아 홀딩스(AM Green Ammonia Holdings BV, 이하 AMG 암모니아)에 단계적으로 공동 투자하기로 했다. AMG 암모니아는 인도의 대표적인 재생 에너지 기업 그린코(Greenko)의 창업주들이 설립했다. 싱가포르투자청(GIC) 계열사도 AMG 암모니아에 투자한다. Gentari는 말레이시아를 수소 수출 허브로 만들기 위한 노력에 착수했으며, 수소 벤처를 통해 수소를 에너지 전환 지렛대로 만드는 내용을 포함한 종합적인 국가 로드맵을 지원하게 된다 (이미지=Gentari 홈페이지) AMG 암모니아는 24시간 이용할 수 있는 재생 에너지를 사용해 2023년까지 연간 500만톤(MTPA)의 그린 암모니아를 생산하고자 한다. 현재 가장 완성도 있고, 안정적인 형태로 수소를 수송해주는 이 플랫폼의 목표는 그린 암모니아를 공급하는 것
수십 년 동안 여성에게 영향을 미치는 암 치료법을 찾는 데 앞장서고 지지해 온 매리 케이 애쉬 재단(Mary Kay Ash Foundation℠)과 텍사스 주 댈러스에 있는 미국 최고의 학술 의료 센터 중 하나인 UT 사우스웨스턴 메디컬 센터(Southwestern Medical Center)는 암 펠로우십 국제 박사후 연구원 프로그램(International Postdoctoral Scholars in Cancer Research Fellowship)에서 5년간의 공동 성공을 축하하고 있다. UT 사우스웨스턴 메디컬 센터의 해롤드 C. 시몬스(Harold C. Simmons) 종합 암 센터에서 진행되는 이 펠로십은 메리 케이 애쉬 재단이 후원하는 2년 박사후 과정 프로그램이다. International Postdoctoral Scholars in Cancer Research, Class of 2023. Back Row: Dongqi Xie, Ph.D. (left), Principal Investigator Jerry Shay, Ph.D. (middle), Pedro Nogueira, Ph.D. (right); Front Row: Debora Andrade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크래프트 테크놀로지스(이하 크래프트)와 LG AI연구원이 합작하여 출시한 인공지능 ETF가 7 일(뉴욕 현지 시각) 상장되었다. 상장된 ETF의 명칭은 ‘LG Qraft AI-Powered US Large-cap Core ETF’이며, 티커명은 LQAI다. 이번에 출시된 ETF는 두 회사의 첫 합작품이다. 크래프트는 LG AI연구원에서 개발한 자본 시장 예측 및 투자 포트폴리오 구축 모델을 자사의 AI ETF 운용 프로세스에 통합하여 미국 대형주에서 장기적인 운용 성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전략을 연구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상장지수펀드를 출시하게 되었다. LQAI는 미국 주식시장 대형주 상위 500개 종목 중에서 AI 모델이 예측한 결과를 기반으로 100개의 종목을 4주마다 새로 선정한다. LG AI연구원은 공급망·생산 공정 관리, 제품 가격 예측 등 산업별 다양한 영역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시계열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만든 예측 AI 모델의 성능과 기술력을 검증받았다. 특히 LG AI연구원 예측 모델은 글로벌 시장에서도 그 능력을 검증 받았다. LG AI연구원은 ‘투자 포트폴리오 구축 AI 모델’의
국내 지급결제 사업(VAN·부가통신업) 1위 사업자인 나이스정보통신(이하 나이스)은 이달 2일과 3일 양일 간 시립마포데이케어센터를 비롯한 노인 복지관에서 ‘나이스한 KIOSK 사용법’ 무상교육을 시행했다. 나이스정보통신에서 진행한 ‘나이스한 KIOSK 사용법’ 무상교육 현장 한 교육 참가자가 키오스크로 햄버거 주문을 연습하고 있다 이번 교육은 팬데믹 이후 빠른 속도로 디지털화되고 있는 결제장비에 대한 기술 소외 현상을 해소하고, 노년층의 심적 부담을 완화하는데 도움되고자 하는 취지에서 기획됐다. 최근 매장 운영 효율성 증대를 위해 KIOSK 등 무인 결제 장비를 도입하는 가맹점들이 급증하고 있으나 노년층 중 대다수는 아직 기기 사용법에 익숙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이에 KIOSK를 포함한 결제 장비 공급 주체인 나이스가 직접 나섰다. ‘나이스한 KIOSK 사용법’ 무상교육에서는 △KIOSK 정의 △주 사용처 △결제 수단별 버튼 선택법 등 KIOSK 사용법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이 다뤄졌다. 교육이 일회성으로만 끝나지 않도록 나이스에서는 복지관 측에 교육용 KIOSK를 무상 제공해 지속적인 반복학습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교육에 참여한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