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이가 들면서 누구나 겪게 되는 대표적인 시력 변화 중 하나가 바로 노안이다. 과거에는 노안이 단순히 피할 수 없는 노화 현상으로 여겨졌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시력 교정술과 개인에 맞는 치료법이 발전하면서 개선 가능한 질환으로 인식이 바뀌고 있다. 특히 중장년층의 삶의 질 향상이 사회적인 관심사로 떠오르면서 노안에 대한 개선 인식 또한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노안은 일반적으로 마흔 전후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며 가까운 거리의 글씨가 잘 보이지 않거나 초점이 흐려지는 증상으로 시작된다. 특히 책이나 스마트폰 화면을 볼 때 무의식적으로 멀리 떨어뜨려 보게 되거나 눈의 피로감이 쉽게 느껴지는 경우 노안을 의심해볼 수 있다. 이는 눈 속 수정체의 탄력이 저하되고 모양체근의 조절력이 약해지면서 가까운 곳에 초점을 맞추기 어려워지는 것이 주요 원인이다.
최근에는 50대뿐 아니라 40대 초반의 비교적 젊은 연령대에서도 이른바 ‘젊은 노안’ 증상을 호소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화면을 장시간 보는 현대인의 생활 습관이 노안의 발현 시기를 앞당기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이에 따라 정기적인 시력 검진을 통해 노안의 초기 징후를 파악하고 조기 대응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된다.
노안의 대표적인 교정 방법으로는 다초점 안경이나 콘택트렌즈가 있으며, 최근에는 노안 라식과 라섹, 렌즈 삽입술 등 수술적 치료법도 활발하게 시행되고 있다. 특히 레이저를 활용한 노안 라식은 각막 중심부와 주변부의 굴절력을 달리 조절해 가까운 거리와 먼 거리 모두에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식으로, 시력 교정 효과와 동시에 회복 기간이 빠르다는 점에서 만족도가 높다.
노안은 단순히 노화의 한 과정으로 넘기기보다 적극적인 개선이 필요한 질환으로 접근해야 한다. 개인의 시력 상태와 생활 환경에 따라 적합한 교정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에는 디지털 기기 사용량이 많은 직장인과 활동적인 중장년층에서도 수술적 교정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다만 무조건적인 수술보다는 정확한 정밀 검사와 상담을 통해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노안은 백내장과 함께 동반되는 경우도 적지 않기 때문에, 특히 마흔 이후에는 주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노안뿐 아니라 다양한 안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글로리서울안과 구오섭 대표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