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광명 신안산선 공사장 지하 붕괴 현장 [사진=연합뉴스]</strong>](http://www.seoultimes.news/data/photos/20250520/art_17470307759927_4dca6a.jpg)
[서울타임즈뉴스 = 허성미 기자] 경기 광명시는 신안산선 공사현장 붕괴 사고 원인을 객관적으로 밝히기 위해 자체적으로 지하사고조사위원회를 구성하고 본격적인 조사에 착수한다고 12일 밝혔다. 조사위는 민간 전문가 11명과 시청 시설직 국장 1명 등 총 12명의 위원으로 구성됐다.
민간 전문가 11명은 한국지하안전협회, 한국안전리더스포럼 등 안전 전문기관의 추천을 받아 토목기사, 토질 및 기초기술사, 지질 및 지반기술사, 건축품질시험기술사 등 현장 실무경험이 풍부한 전문가 10명과 법률 전문가인 변호사 1명이 각각 위촉됐다.
앞서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17일 건설사고조사위원회를 구성한 바 있다.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는 지자체장이 관할 구역에서 발생한 사고의 경위와 원인 등을 조사하기 위해 지하사고조사위원회를 구성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조사위는 향후 6개월간 사고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물 및 지반 상태를 공학적으로 분석해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사고 원인 규명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또 사고 원인과 대응 조치, 향후 제도 개선 방안 등을 포함한 사고조사보고서를 작성 후 국토부에 제출해 유사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정책 자료로 활용토록한다는 방침이다.
광명시는 이날 시청 재난상황실에서 지하사고조사위원회 첫 회의를 열어 신안산선 공사 시행사인 넥스트레인㈜ 관계자에게 사고 당시 경위와 현장 상황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자료를 확인한 후 사고 원인과 재발 방지 대책 등을 논의했다.
박승원 시장은 "사고의 원인을 시 차원에서 철저히 규명하겠다"며 "향후 유사 사고 재발을 사전에 막기 위해 지하 공사에 대한 지자체의 안전관리 권한이 법적으로 보장될 수 있도록 제도 개선과 법 개정에도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