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길 "고령자가 단순 관람이 아닌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적극 도입해야"

  • 등록 2024.03.05 13:42:20
크게보기

  • 주요 문화유적지에 휠체어·점자 관람시설 확대
  • OTT 콘텐츠 특화 산학 연계 현장실습 확대 제안

 

 

고령자의 단순 공연 프로그램 관람이 아닌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도입될 전망이다.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는 5일 장애인을 위한 배리어 프리(무장애) 문화·예술 시설 개선 정책을 발표했다.

 

통합위 먼저, 공연장 휠체어석 판매 의무화와 온라인 예매 시스템 도입을 제안했다.

 

공연장은 법령에 따라 전체 좌석의 1% 이상을 휠체어석으로 설치하고 있으나, 실제 판매하지 않거나 온라인 예매가 어려운 사례가 많다는 게 통합위의 설명이다.

 

4대 궁·종묘·조선왕릉 등 주요 문화유적지에 휠체어 관람시설, 점자 안내시설 등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을 적극 확대 설치해야 한다고도 밝혔다.

 

통합위는 고령자나 비수도권 거주자를 위한 정책도 함께 마련했다. 우선 노인복지시설 등에 찾아가는 공연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고령자가 단순 관람이 아닌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적극 도입하자고 제안했다.

 

또 폐교·폐공장 등 유휴공간을 지역 문화예술인의 공연·전시 공간으로 활용하고, 대도시 국공립 문화시설에 지역 작품 공연·전시 기회를 확대토록 했다.

 

아울러 상생하는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OTT 콘텐츠 특화 산학 연계 현장실습을 확대 등을 제안하기도 했다.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은 "장애·세대·지역 등에 관계 없이 모두가 문화·예술을 함께 누리고 화합하는 사회를 만들어 나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 홍국 기자 khk33378@naver.com
Copyright @서울타임즈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주)퍼스트경제 / 이메일 box@seoultimes.news / 제호 : 서울타임즈뉴스 / 서울 아53129 등록일 : 2020-6-16 / 발행·편집인 서연옥 / 편집국장 최남주 주소 : 서울시 강동구 고덕로 266 1407호 (고덕역 대명밸리온) 대표전화 : (02) 428-3393 / 팩스번호 : (02) 428-3394. Copyright @서울타임즈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