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한미약품이 ‘비만치료 신약 전쟁’이 치열한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 경쟁력을 재차 입증했다. 회사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미국 최대 비만 전문 학술행사인 ObesityWeek 2025에 참석해 체중 감소와 근육량 증가를 동시에 실현하는 신개념 비만치료제 HM17321(비인크레틴 기반)과 차세대 삼중작용 비만치료제 HM15275 연구결과를 공개했다.
한미약품은 4~7일(현지시간) 미국 애틀랜타에서 열린 학회에서 해당 신약 관련 4건의 연구 데이터를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한미는 “HM17321은 근육 증가와 지방 분해를 동시에 유도하는 ‘고품질 체중 감량’을 목표로 개발 중이며, 기존 GLP-1 계열과 차별화된 First-in-Class 후보”라고 설명했다.
HM17321은 한미가 자체적으로 구축한 AI 기반 신약 설계 플랫폼 ‘HARP’로 개발된 첫 성과다. 회사는 동물모델 연구를 통해 HM17321 투여시 근육 mTOR 경로 활성화 → 근성장 촉진, 지방조직에서는 지방 분해 촉진 및 지방 합성 억제가 동시에 나타났다고 밝혔다. 세마글루타이드(현재 시판 중 GLP-1 약물) 비교 실험에서는 ▲지방 감소 폭 확대 ▲근육량 증가 ▲에너지 소비량 증가 등이 확인됐다. 혈당 조절에서도 세마글루타이드 대비 개선된 결과를 나타냈다.
HM17321은 이달 초 미국 FDA로부터 임상 1상 시험계획(IND) 승인을 획득하며 임상 단계에 돌입했다. 또 다른 후보물질인 HM15275는 GLP-1, GIP, Glucagon 세가지 수용체에 동시에 작용하는 삼중작용제로, 한미약품이 그동안 축적한 인크레틴 연구 경험이 집약된 파이프라인이다. 한미약품은 이번 발표에서 약물의 장기 지속성과 양호한 안전성 프로파일 등을 추가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HM15275는 FDA로부터 임상 2상 승인도 받은 상태다.
최인영 한미약품 R&D센터장(전무)은 “올해 6월 미국당뇨병학회와 9월 유럽당뇨병학회, 11월 미국비만학회등 주요 국제 학회에서 발표한 HM17321과 HM15275의 연구 결과는 한미가 인크레틴 및 대사질환 분야에서 20년 이상 연구를 지속하면서 축적한 과학적 전문성을 토대로 글로벌 무대에서 혁신 기술력을 입증한 성과”라며 “전세계 비만 환자들의 삶의 질을 한층 높일 수 있도록 ‘건강한 체중 감량’을 실현하는 글로벌 혁신신약 개발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글로벌 데이터 분석 기업(GlobalData Plc)이 제공하는 특허 분석 자료에 따르면, 한미그룹은 2021~2023년 비만 및 대사 GLP-1 계열 분야 특허 수에서 전 세계 1위를 차지하며, GLP-1 유사체 관련 특허 기술에서 제약바이오 업계를 선도하고 있는 사실이 확인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