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타임즈뉴스 = 허성미 기자] 울산에서 보일러 타워를 철거 작업하던중 보일러 타워가 붕괴되면서 작업자가 매몰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오후 울산 남구 용잠동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에서 철거중이던 보일러 타워가 붕괴해 작업자 7명이 매몰되는 대형 사고가 발생했다. 이번 사고는 오후 2시 2분께 발생했으며, 구조당국은 즉시 현장에 투입돼 수색 및 구조 작업을 벌이고 있다.
울산화력본부 내 나란히 서 있던 보일러 타워 4·5·6호기중 가운데 5호기가 높이 60m에서 무너져 내렸다. 굉음을 내며 철골 구조물이 주저앉는 순간, 현장에서 철거 작업을 하던 근로자 9명 중 다수가 순식간에 잔해에 매몰됐다. 소방당국은 펌프차 등 장비 13대와 인력 50여명을 동원해 구조작업에 나섰다. 현재까지 2명이 구조돼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7명이 실종된 상태다.
소방청은 국가소방동원령을 발령하고 부산·대구·경북 등 인근 소방본부 특수구조대와 중앙119구조본부 인력을 긴급 투입했다. 구조대는 대형 철골 구조물이 불안정하게 기울어 추가 붕괴 위험이 있다고 판단, 700t급 크레인을 투입해 구조물 안정화 작업을 병행하고 있다. 추가로 500t급 크레인 2대도 현장에 배치될 예정이다.
사고 현장은 접근 자체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일부 매몰자는 땅과 잔해물 사이에 끼어 있어 구조에 장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구조당국은 “철골이 불안정해 조금만 진동이 있어도 2차 붕괴 위험이 있다”며 “안전 확보 후 절단 및 부분 철거를 병행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사고가 난 보일러 타워는 1981년 준공돼 약 40년간 가동되다 노후화로 2021년 가동이 중단됐다. 이후 HJ중공업이 철거 시행을 맡고, 하도급사 코리아카코가 지난달부터 철거 작업을 진행해왔다. 사고 당시에는 발파 철거를 위한 구조물 ‘취약화 작업’, 즉 일부 철재 기둥 절단 공정이 이뤄지고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도 즉각 대응에 나섰다. 이재명 대통령은 사고 보고를 받은 뒤 “인명 구조를 최우선으로 하고 가용 자원을 총동원하라”고 지시했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압수수색 등 강제수사를 통해 사고 원인을 철저히 규명하겠다”며 산업안전보건법 및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 조사에 착수할 뜻을 밝혔다.
노동부는 행정안전부와 기후에너지환경부 등 관계 부처와 함께 중앙사고수습본부를 구성해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울산시는 인근 도로를 전면 통제하고 안전 경계선을 확대했으며, 소방당국은 야간에도 수색을 이어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