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KB자산운용(대표이사 김영성)의 ‘RISE 글로벌원자력 ETF’가 순자산 3,000억원을 넘어섰다. 지난 6월 2,000억원을 돌파한 지 불과 3개월만의 성과다. ‘RISE 글로벌원자력 ETF’는 KB자산운용이 지난 2022년 국내에서 처음 선보인 글로벌 원자력 밸류체인 투자 상장지수펀드(ETF)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인공지능(AI)과 데이터센터, 전기차 산업 등이 급성장하면서 전력 수요 역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재생에너지는 간헐성, 화석연료는 환경 부담이 한계로 지적받는 가운데 원자력은 안정성과 친환경성을 동시에 갖춘 미래 에너지 패러다임의 핵심 대안으로 손꼽힌다.
현재 미국은 2050년까지 원전 용량을 4배 이상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신규 원전 건설과 소형모듈원전(SMR)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일본과 유럽 역시 에너지 안보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원전 투자 비중을 늘리는 상황이다. 근래 우라늄 가격도 급등세를 나타내면서 글로벌 원자력 산업 성장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이 같은 글로벌 흐름에 올라타고 싶은 투자자라면 ‘RISE 글로벌원자력 ETF’를 투자 대안으로 활용하면 좋다. ‘RISE 글로벌원자력 ETF’의 기초지수는 ‘iSelect 글로벌원자력 지수’다. 원전 관련 기업 중 시가총액이 1억달러 이상이면서 60일 평균 거래대금이 30만달러를 웃도는 유동성 확보 기업들만 담는다.
특히 글로벌 기업과 국내 기업을 각각 70%, 30%의 비중으로 편입해 해외 성장성과 국내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했다는 점은 다른 원자력 산업 투자 상품과 차별화된 포인트다.
주요 편입 종목은 ▲미국 최대 원전 운영사 ‘콘스텔레이션 에너지’ ▲세계 1위 우라늄 생산업체 ‘카메코’ ▲국내 대표 원전 기자재 기업 ‘두산에너빌리티’·‘HD현대일렉트릭’ ▲SMR 선도 기업 ‘뉴스케일파워’·‘오클로’ ▲우라늄 공급 기업 ‘넥스젠에너지’·‘우라늄에너지’ 등이다.
‘RISE 글로벌원자력 ETF’의 운용 성과는 탁월하다. 최근 3개월, 6개월 수익률이 각각 18.02%, 77.53%를 기록하고 있다. (에프앤가이드, 9/16 기준)
노아름 KB자산운용 ETF사업본부장은 “원자력은 탄소 저감과 에너지 안보, 첨단산업 성장의 기반이 되는 핵심 자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RISE 글로벌원자력 ETF’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전 세계 원자력 기업에 통합 투자할 수 있는 상품으로, 투자자들에게 장기 성장성과 리스크 분산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