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인화 포스코 회장, 인명사고 현장 긴급 점검…“재해 근본 원인부터 규명”

  • 등록 2025.08.10 00:06:29
크게보기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포스코그룹 장인화 회장이 최근 인명사고가 발생한 포스코이앤씨 고속도로 건설 현장을 직접 찾아 안전 실태를 점검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9일 장 회장은 경기도 광명시 옥길동 광명∼서울고속도로 연장 공사 현장을 방문해 2시간 동안 그룹 안전특별안전진단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주재하고, 작업 현장을 세밀히 살폈다. 장 회장은 “연이은 사고에 대해 통렬히 반성한다”며 “재해의 근본 원인을 명확히 규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장 회장은 외부 전문가와 사내 경영진단 조직이 공동으로 원인 조사를 신속히 진행해 실효성 있는 개선책을 마련할 것을 지시했다. 또한 해외 선진 기업을 직접 방문해 안전관리 모범 사례를 도입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근로자가 안전 예방의 주체로 참여하는 방안과 현장 중심의 위험 요소 발굴·개선 대책이 논의됐다.

 

이날 회의에는 박화진 전 고용노동부 차관, 임무송 대한산업안전협회장, 포스코 노동조합 김성호 위원장을 비롯해 송치영 포스코이앤씨 사장과 김현출 안전보건센터장, 전 사업 본부장이 참석했다. 장 회장은 회의 직후 사고 지점을 찾아 작업 환경과 안전 조치 상황을 직접 점검했다.

 

이번 사고는 지난 4일 발생했다. 미얀마 국적의 한 근로자가 지하 물웅덩이에서 양수기 펌프를 점검하던 중 감전으로 추정되는 사고를 당해 현재까지 의식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포스코이앤씨는 사고 이후 전국 103개 모든 공사 현장과 신규 인프라 수주 활동을 전면 중단했다. 이로 인해 서울 서리풀 복합시설 개발, 신반포21차 재건축(오티에르 반포) 등 주요 프로젝트가 멈췄으며, 가덕도신공항 부지 공사 컨소시엄에서도 탈퇴했다.

 

한편, 포스코이앤씨는 올해에만 여러 건의 중대재해 사망 사고를 겪으며 정부의 강도 높은 조사와 제재 가능성에 직면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반복되는 안전사고를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에 비유하며 ▲건설 면허 취소 ▲공공입찰 금지 ▲징벌적 손해배상 등 강력한 법적 제재 검토를 지시한 상태다.

 

고용노동부는 포스코이앤씨 전국 건설 현장 62곳에 대해 불시 감독을 진행할 계획이다. 포스코그룹은 이번 점검을 계기로 안전관리 체계를 전면 재정비하고, 구조적 개선을 통해 유사 사고 재발을 막겠다는 방침이다.

최남주 기자 calltaxi@seoultimes.news
Copyright @서울타임즈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주)퍼스트경제 / 이메일 box@seoultimes.news / 제호 : 서울타임즈뉴스 / 서울 아53129 등록일 : 2020-6-16 / 발행·편집인 서연옥 / 편집국장 최남주 주소 : 서울시 강동구 고덕로 266 1407호 (고덕역 대명밸리온) 대표전화 : (02) 428-3393 / 팩스번호 : (02) 428-3394. Copyright @서울타임즈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