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지난해 국내 1000대 상장사의 매출 규모는 1997조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하지만 2008년부터 17년째 매출 1000조 원대에서 벗어나지 못했고, 작년 매출 1조 클럽은 248곳으로 2년 전보다 10곳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 상위 1000곳중 재작년 대비 작년 매출 외형이 증가한 곳은 633곳으로 집계됐다. 또 삼성전자는 지난 2002년부터 2024년까지 23년 연속으로 국내 기업 매출 1위 자리를 지켜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1996년~2024년 사이 29년 간 국내 1000대 상장사 매출 현황 분석’ 결과를 이달 26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국내 상장사 중 매출 기준 상위 1000곳(금융업·지주사 포함)에 포함되는 기업이다. 매출은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사업보고서 중 개별(별도) 재무제표 금액 기준으로 조사가 이뤄졌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지난해 국내 1000대 상장사의 전체 매출액 규모는 1997조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1년전인 지난 2023년 1863조원과 비교하면 1000대 기업 매출 외형은 1년새 134조원(7.2%↑) 정도 상승했다. 특히 재작년 대비 작년 기준 조사 대상 1000곳중 633곳은 매출 외형이 커졌다.
주요 연도별 국내 상장사 1000대 기업의 매출 규모를 살펴보면 1996년에는 390조원으로 400조 원을 밑돌았다. 매출 1000조원 시대를 처음 연 시점은 지난 2008년(1197조원)이 됐다. 이후로 10년이 흐른 2018년에 1537조원으로 매출 1500조원 시대에 진입했다. 2019년(1508조원)→2020년(1489조원)에는 매출 감소세로 돌아섰다.
그러다 2021년(1734조원)→2022년(1993조원)에는 다시 증가세를 보였다. 2023년에는 전년 대비 130조원(6.5%↓) 감소하며 1800조원대로 밀려났다. 작년에는 역대 매출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공식적으로 2000조원을 넘어서지는 못했다. 큰 흐름에서 보면 국내 1000대 기업은 지난 2008년부터 17년째 매출 1000조원대를 벗어나지 못했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이와관련, “올해 1분기 초반 경영 성적만 놓고 보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이 포함된 전자 업종을 비롯해 자동차와 조선 분야 산업군 등의 매출 실적 다소 오름세를 보인 상황이어서 2025년 1000대 기업 매출 외형은 2000조원을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며 “올 2분기 이후 트럼프 관세 등으로 인한 변수가 매출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는 예의주시해야 하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작년 매출 200조원대 회복…1000대 기업 매출 영향력 10.5%=작년 매출과 관련해 가장 돋보인 기업은 삼성전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회사의 지난해 별도 기준 매출은 209조 522억원 수준이었다. 지난 2022년 211조8674억원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매출 외형이다. 연결 기준 매출로 살펴보더라도 지난해 300조8709억원으로 300조 원대 수준을 기록했지만, 지난 2022년 기록한 302조2313억원을 넘지 못했다.
1996년 당시만 해도 삼성전자는 별도 기준 매출은 15조 8745억 원으로 삼성물산과 현대종합상사에 이어 매출 3위였다. 이후 2002년에 형님뻘인 삼성물산을 제치고 국내 매출 1위 자리에 처음 올랐다. 이때부터 지난해까지 23년 연속으로 국내 재계 왕좌 자리에서 한 번도 내려오지 않고 최고 자리를 지켜내고 있다.
삼성전자가 지난 2002년 매출 1위에 올라설 때만 해도 당시 회사 외형은 39조8131억원 수준이었다. 지난 2010년(112조2494억원)에는 처음으로 매출 100조원 시대로 진입했다. 2010년 이후 12년이 흐른 2022년에 이르러서야 매출 200조원대 시대를 열었다.
지난해 1000대 기업 전체 매출중 삼성전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10.5%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2023년에 9.1%로 떨어졌던 것을 감안하면 10%대 영향력은 회복했지만, 지난 2020년(11.2%)과 2021년(11.5%) 에 기록한 11%대 매출 포지션보다는 다소 낮아졌다.
삼성전자를 포함해 작년 기준 1000대 기업중 매출 1조원이 넘는 ‘매출 1조 클럽’에는 248곳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258곳)→2023년(250곳)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지난 2022년 이후 매출 1조 클럽에 가입한 기업 숫자는 줄어들고 있는 모양새다.
대표적으로 에코프로비엠은 지난 2023년만 해도 3조 원대 매출을 기록하며 매출 100위권에도 이름을 올렸다. 하지만 작년에는 6900억원대를 기록하며 300위권대로 순위가 밀려났다.
반대로 넷마블은 지난 2023년 별도 기준 매출이 7900억 원 수준이었는데 작년에는 1조824억원으로 다시 1조 클럽에 재가입한 것으로 파악됐다. 넷마블은 지난 2018년에 처음 1조 클럽에 가입해 2021년까지 1조 클럽을 유지해오다 2022년과 2023년에 매출 1조원 밑으로 떨어졌었다.
◆지난해 경동나비엔, DN오토모티브, NHN KCP, 한국콜마 등 매출 1조클럽 입성=지난해 별도 기준으로 매출 1조 클럽에 역대 처음으로 이름을 올린 곳에는 ▲경동나비엔(1조2468억원) ▲DN오토모티브(1조1006억원) ▲NHN KCP(1조905억원) ▲한국콜마(1조596억원)가 포함됐다.
작년 기준 매출 10조 클럽에 가입한 기업 숫자는 37곳으로 이전해보다 1곳 많아졌다. 하지만 역대 매출 10조 클럽 최고치인 2022년 38곳을 넘어서지는 못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3개 회사는 2023년 대비 2024년에 매출 10조 클럽에 새로 가입했으나 2곳은 탈락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중 ▲HMM(2023년 8조2304억원→2024년 11조5134억원) ▲한화오션(7조4259억원→10조7647억원) ▲키움증권(8조5886억원→10조2101억원) 이렇게 세 곳은 재작년과 달리 작년에 매출 10조 클럽에 새로 이름을 올렸다. 특히 키움증권은 지난해 매출 10조 클럽에 역대 처음으로 이름을 올려 주목을 받았다.
이와 달리 ▲LG에너지솔루션(12조2884억원→7조9266억원) ▲대우건설(10조5239억원→9조3973억원)은 2023년만 해도 매출 10조 클럽에 들었지만, 작년에는 매출 10조 클럽에서 탈락했다.
작년 매출 1조 클럽에 가입한 248곳 중에서도 2023년 대비 2024년 매출이 1조 원 넘게 증가한 곳은 19곳으로 조사됐다. 19곳 중에서도 2곳은 1년 새 매출이 10조 원 넘게 크게 증가했다.
여기에는 삼성전자(38조6781억원↑)와 SK하이닉스(28조962억원↑) 두곳이 포함됐다. 앞서 두 회사중 2023년대비 2024년 매출 증가율로 보면 SK하이닉스가 101.7%로 폭풍 성장했고, 삼성전자도 22.7% 수준으로 매출이 증가세를 보였다.
또 ▲한국전력공사(5조8209억원↑) ▲LG디스플레이(5조3676억원↑) ▲기아(4조7367억원↑) ▲한화오션(3조3387억원↑) ▲기업은행(3조3029억원↑) ▲HMM(3조2830억원↑) 등도 최근 1년새 별도 기준 매출액이 3조원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대조적으로 14곳은 매출 외형이 1조원 이상 감소했다. 대표적으로 한국가스공사는 2023년 42조8325억원이던 매출이 2024년에는 36조5514억원으로 낮아지며 1년새 6조원 넘게 하락했다. 이외 ▲LG에너지솔루션(4조3618억원↓) ▲삼성SDI(3조85억원↓)는 3조원 이상 매출 외형이 쪼그라든 것으로 조사됐다.
◆1년새 상장사 톱10증 6개사 자리 변경 등 부침 심화...재계 판도변화 현상 뚜렷=최근 1년새 국내 상장사 매출 톱10의 순위도 부침이 컸다. 작년 기준 매출 1~4위는 삼성전자, 한국전력공사(91조6469억원), 현대차(79조607억원), 기아(63조2567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3년과 순위 변동이 없었다. 현대모비스(36조6040억원)도 2023년과 2024년에 6위 자리를 지켰다.
앞서 4개 회사를 제외하고 톱10 자리는 바뀌었다. 작년 상장사 매출 5위에 SK하이닉스가 이름을 올리면서 이후 순위가 변동됐다. SK하이닉스 매출 순위는 2023년만 해도 10위였는데 지난해는 5계단이나 전진했다.
재작년 매출 톱5에 올랐던 한국가스공사는 지난해는 7위로 두계단 후퇴했다. 여기에 ▲S-Oil(2023년 7위→2024년 8위) ▲LG전자(8위→9위) ▲포스코인터내셔널(9위→10위) 역시 재작년 대비 작년에 매출 순위가 각각 한 계단씩 밀려난 것으로 확인됐다.
11~20위권은 2023년과 2024년에 단 한 곳도 같은 자리를 지킨 곳이 없을 정도로 자리 경쟁은 치열했다. 작년 기준 매출 11~20위에는 각각 ▲11위 기업은행(←2023년 13위) ▲12위 삼성생명(←11위) ▲13위 LG디스플레이(←17위) ▲14위 삼성물산(←12위) ▲15위 현대글로비스(←19위) ▲16위 LG이노텍(←15위) ▲17위 LG화학(←16위) ▲18위 현대제철(←14위) ▲19위 KT(←20위) ▲20위 현대건설(←22위) 순이다. 이중 현대건설은 2023년만 해도 매출 톱20 밖이었지만 작년에는 20위권에 새로 진입했다. 반면 삼성SDI는 2023년 18위에서 2024년에는 23위로 2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해외 법인 등이 포함된 연결 기준 재무제표와 달리 국내 법인에 대한 매출 및 영업이익 현황 등을 살펴볼 수 있는 별도 기준 재무제표는 국내 정부에 내는 법인세 등 세금은 물론 고용 및 GDP 등을 산출하는데 직접적인 연관성인 높다”고 설명했다.
오 소장은 이어 “우리나라 경제 규모가 지금보다 한 계단 도약하려면 별도 기준으로 매출 100조 원 넘는 기업이 지금보다 5~10곳 이상 나와야 하지만, 현재는 삼성전자가 유일한 상황이다.”고 덧붙였다.